꽃다운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고초를 겪은 이점례(89) 할머니의 별세 소식이 뒤늦게 알려졌다. 23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따르면 전북 익산에서 머물러 온 위안부 피해자 이점례 할머니는 지난 11일 뇌출혈로 쓰러져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타계했다. (서울=연합뉴스)
꽃다운 나이에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고초를 겪은 이점례(89) 할머니의 별세 소식이 뒤늦게 알려졌다. 23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따르면 전북 익산에서 머물러 온 위안부 피해자 이점례 할머니는 지난 11일 뇌출혈로 쓰러져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타계했다. 1921년 익산에서 태어난 이 할머니는 1935년 일본군에 끌려가 중국, 싱가포르 등지에서 위안부로 말못 할 고통을 겪었다고 정대협 측은 전했다. 이 할머니는 1941년 폐병으로 귀국한 뒤에도 위안소 생활에서 얻은 질병 등으로 힘든 생활을 했다. 정대협 관계자는 "노환으로 기력을 잃었다가 이달 초 뇌출혈로 쓰러지셨다. 다시 일어나길 간절히 바랐지만 결국 안타깝게 눈을 감으셨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일에는 암을 이기지 못하고 김순악 할머니가 향년 82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올해 들어 두 할머니의 타계로 우리나라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 생존 할머니는 86명만 남게됐다. 정대협 관계자는 "할머니를 떠나보내게 돼서 매우 안타깝다. 할머니 한분이라도 더 살아 계실 때 일본 정부가 나서서 위안부 문제를 해결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남권 기자 kong7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