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m로 바꿔도 농경지 3㎢대책 필요…정부 예상의 4배
정부가 낙동강 함안보 건설에 따른 침수피해 대책을 마련하는 지역의 면적이 3.11㎢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침수피해 예상면적 0.744㎢보다 4배 이상 넓은 것이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한국수자원공사, 경남도는 26일 경남 창녕군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에서 ‘낙동강 살리기, 지하수 영향 및 대책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김진 한국수자원공사 차장은 “함안보 관리수위를 애초 계획했던 7.5m에서 5m로 2.5m 낮추기로 결정함에 따라 침수피해 면적은 14.0㎢에서 0.744㎢로 줄어들게 됐다”며 “침수 예상 지역은 함안군 4개면 7개리, 창녕군 2개면 4개리, 의령군 1개면 1개리 등 3개군 7개면 12개리”라고 밝혔다.
그러나 서상영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장은 “물높이가 몇㎝만 올라가도 침수지역이 엄청나게 넓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수위보다 50㎝ 높은 5.5m까지 물을 채운다는 가정하에 대책을 마련했다”며 “대책을 마련해야 할 농경지는 함안군 1.49㎢, 창녕군 1.29㎢, 의령군 0.33㎢ 등 총 3.11㎢”라고 밝혔다. 서 지사장은 “함안군 지정면 남재지구 0.62㎢ 리모델링(성토), 배수장 25곳 설치, 배수문 10곳 재설치, 배수로 12곳 정비를 통해 침수피해를 막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재현 인제대 교수(토목공학과)는 “자체 분석 결과 관리수위를 5m로 낮추더라도 침수면적은 4.0㎢에 이르며, 정부가 기대하는 만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관리수위를 3m 이하로 낮춰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며 “배수시설 보강은 장기적으로 볼 때 대책이라 할 수 없으며, 정부는 관리수위를 낮추면서 5m로 정한 이유와 근거를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창녕/최상원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