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람사르네트워크와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 등 ‘4대강 한·일 시민조사단’이 1일 충남 연기군 금남보 건설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4대강 사업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 제공
생태전문가·환경단체들
금남보 건설현장서 회견
금남보 건설현장서 회견
한국과 일본의 생태 전문가와 환경단체 회원들로 꾸려진 ‘4대강 한·일 시민조사단’이 1일 기자회견을 열어 4대강 사업의 중단을 요구했다. 이 조사단은 지난달 26일 4대강 사업에 대한 공동조사를 벌인다는 취지로 꾸려졌다. 일본에서는 ‘일본 람사르네트워크’(대표 하나와 신이치)와 생태 전문가들이 참여했고, 한국에서는 금강운하백지화국민행동과 금강유역환경회의 등이 동참했다.
이들은 충남 연기군 금남보 건설 현장에서 연 이날 기자회견에서 “4대강 사업은 보가 초래할 미래 위험 요인이나 환경영향 예측·평가 없이 강행되고 있다”며 “강·습지·생태계를 훼손하는 4대강 사업은 바로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사단은 이어 “다양한 식물의 서식처가 파헤쳐지고, 복원이라는 이름 아래 다수의 동식물과 멸종위기 종들이 죽음 직전까지 내몰리는 현장을 둘러봤다”며 “강과 습지가 너무 쉽게 손상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밝혔다. 또 “순식간에 생활 터전을 빼앗겨야 하는 강과 습지 주변 주민들의 눈물 어린 호소를 들을 수 있었다”며 “4대강 사업의 일자리 창출은 공사를 따낸 토목건설 회사들에만 해당하고 있었다”고 꼬집었다.
이마모토 히로타케 교토대 명예교수(토목공학 전공)는 “보와 댐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한국의 4대강 사업은 이수·치수 모두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한마디로 필요 없는 사업”이라며 “이런 사업을 지지하는 한국 정부 관계자나 하천 전문가와 토론이라도 하고 싶다”고 비판했다. 조사단은 “모든 조사 활동 결과를 근거로 4대강 사업의 실체를 국내외에 알리고 사업의 환경·사회적 영향에 우려하는 국내외 여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겠다”며 “4대강 사업 중단을 위해 한·일 두 나라가 공조하겠다”고 밝혔다.
한·일 조사단은 지난 26일 운하반대교수모임 등과 토론회를 연 데 이어, 1일까지 한강유역 팔당 유기농산지와 경기 여주 강천보·이포보, 낙동강 유역 병산습지, 상주보·낙단보·구미보, 금강 유역 금남보 등 4대강 사업 주요 현장을 돌며 4대강 사업 현황, 환경파괴 사례, 지역 주민 영향, 경제효과 등을 함께 조사했다.
청주/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