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외채가 2천50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에 각 기관이 해외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선 데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통화안정채권과 국고채권 등을 대거 사들인 데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장기외채의 투자자금도 단기외채와 마찬가지로 한꺼번에 빠져나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데다 만기가 집중되면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장기외채 사상최대치로 급증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장기(계약만기 1년초과) 대외채무는 2천519억6천200만 달러로 전년말의 2천280억5천만 달러보다 10.5% 늘어났다.
연말 환율 종가를 적용하면 287조2천290억원에서 293조4천97억원으로 2.2% 증가했다.
장기외채가 늘어난 것은 국내 기관들이 자금 조달 수단으로 해외 증권발행을 늘리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시하는 국내 기관의 채권을 집중적으로 사들인 데 따른 것이다.
기관별로는 은행을 비롯한 예금취급기관의 장기외채가 657억4천300만 달러로 1년 전 590억4천만 달러보다 11.4% 늘었다.
일반정부의 장기외채는 211억4천만 달러에서 278억300만 달러로 31.5% 늘었고, 통화당국은 129억4천600만 달러에서 268억1천300만 달러로 107.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공기업은 128억3천500만 달러로 1년 전 94억5천100만 달러와 비교하면 35.8% 증가했다. 이는 1997년(51.1%)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로, 공기업 장기외채가 100억 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민간기업의 장기외채는 1천52억6천600만 달러에서 1천9억8천100만 달러로 4.1% 줄어 2001년(-3.4%)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채무 성격별로는 ▲증권발행이 17.2% 증가한 1천424억3천500만 달러 ▲차입금이 10.6% 늘어난 427억9천500만 달러 ▲무역신용이 10.1% 줄어든 542억2천900만 달러 ▲투자기업 간 차입이 24.1% 증가한 56억2천100만 달러였다. 반면, 전체 단기외채는 지난해말 1천499억6천만 달러로 1년 전 1천498억9천400만 달러와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장기외채도 안심할 수 없다 그동안 대외채무에서 주된 관심사는 단기외채였다.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단기외채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상환 압박에 고스란히 노출되기 때문이다. 다행히 단기외채가 전체 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37.3%로 1년 전(39.7%)보다 2.4%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장기외채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갚아야 하는 빚이라는 점에서는 단기외채와 다르지 않다. 재정위기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손해를 감수하고 채권을 투매하면 그 충격은 단기외채보다 더 크다. 한은 관계자는 "외국인 투자자가 통안채나 국고채에 투자하면 장기외채로 분류되는 만큼, 장기외채라고 해서 반드시 장기적 성격을 갖는 것은 아니다"며 "만기와 상관없이 채권을 시장에서 대거 매도하면 시장에 충격을 주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채권 만기가 한꺼번에 몰리는 것도 문제다. 만기가 적절히 분산돼 있으면 빚을 갚기가 한결 수월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자금이 일거에 빠져나가거나 대규모 만기 연장을 위해 비용(금리)을 더 지출해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지난해 해외 채권발행이 많이 늘어난 탓에 올해와 2014년 만기가 집중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만기 도래 추정액은 올해 201억 달러, 내년 163억 달러, 2012년 140억 달러, 2013년 101억 달러, 2014년 184억 달러 등이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연구실장은 "외국인의 채권 매입은 환율에 부담을 주고 갑작스럽게 나갈 때 신뢰도 등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경제 안정성 해치지 않도록 자본 유출입 통제와 관련한 제도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근영 최현석 홍정규 기자 (서울=연합뉴스)
일반정부의 장기외채는 211억4천만 달러에서 278억300만 달러로 31.5% 늘었고, 통화당국은 129억4천600만 달러에서 268억1천300만 달러로 107.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공기업은 128억3천500만 달러로 1년 전 94억5천100만 달러와 비교하면 35.8% 증가했다. 이는 1997년(51.1%)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로, 공기업 장기외채가 100억 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민간기업의 장기외채는 1천52억6천600만 달러에서 1천9억8천100만 달러로 4.1% 줄어 2001년(-3.4%) 이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채무 성격별로는 ▲증권발행이 17.2% 증가한 1천424억3천500만 달러 ▲차입금이 10.6% 늘어난 427억9천500만 달러 ▲무역신용이 10.1% 줄어든 542억2천900만 달러 ▲투자기업 간 차입이 24.1% 증가한 56억2천100만 달러였다. 반면, 전체 단기외채는 지난해말 1천499억6천만 달러로 1년 전 1천498억9천400만 달러와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장기외채도 안심할 수 없다 그동안 대외채무에서 주된 관심사는 단기외채였다.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단기외채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상환 압박에 고스란히 노출되기 때문이다. 다행히 단기외채가 전체 대외채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37.3%로 1년 전(39.7%)보다 2.4%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장기외채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갚아야 하는 빚이라는 점에서는 단기외채와 다르지 않다. 재정위기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손해를 감수하고 채권을 투매하면 그 충격은 단기외채보다 더 크다. 한은 관계자는 "외국인 투자자가 통안채나 국고채에 투자하면 장기외채로 분류되는 만큼, 장기외채라고 해서 반드시 장기적 성격을 갖는 것은 아니다"며 "만기와 상관없이 채권을 시장에서 대거 매도하면 시장에 충격을 주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채권 만기가 한꺼번에 몰리는 것도 문제다. 만기가 적절히 분산돼 있으면 빚을 갚기가 한결 수월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자금이 일거에 빠져나가거나 대규모 만기 연장을 위해 비용(금리)을 더 지출해야 하는 부담이 생길 수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지난해 해외 채권발행이 많이 늘어난 탓에 올해와 2014년 만기가 집중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만기 도래 추정액은 올해 201억 달러, 내년 163억 달러, 2012년 140억 달러, 2013년 101억 달러, 2014년 184억 달러 등이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연구실장은 "외국인의 채권 매입은 환율에 부담을 주고 갑작스럽게 나갈 때 신뢰도 등에 연결되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경제 안정성 해치지 않도록 자본 유출입 통제와 관련한 제도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근영 최현석 홍정규 기자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