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팀 꾸린지 한달째
김대중 전 대통령 묘역 방화 사건이 발생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경찰이 뚜렷한 단서를 찾지 못해 사건이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 동작경찰서는 3일 “김 전 대통령 묘역을 중심으로 현충원 내 22곳과 주변 주택가 등에 설치된 민간 시시티브이(CCTV) 등을 차례로 분석해 왔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달 2일 오전 김 전 대통령 묘역 뒤편 언덕의 잔디 일부가 방화로 추정되는 불에 타자, 다음날 17명 규모의 수사전담팀을 꾸려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경찰 관계자는 “현충원 내 시시티브이 영상에 수상한 사람들의 모습이 포착되긴 했지만, 용의자로 특정하기도 어렵고 거리가 멀어 신원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사건의 실마리가 잡히지 않자, 경찰은 사건 발생 전날인 지난달 1일 자정부터 2일 낮 12시까지 36시간 동안 현충원 주변 10개 기지국에 잡힌 통신기록 25만건을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방화시각인 2일 새벽 5시5분께 김 전 대통령 묘역에 접근한 사람들을 추려내는 것이 경찰의 목표다.
하지만 통신기록을 통해 단서를 발견한다 해도 이동통신사로부터 고객정보를 제공받는 데만 보름 정도 시일이 걸려 수사가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동작서 관계자는 “수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얼마나 계속될 것인지는 가늠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사건 현장에서 발견돼 유력한 증거로 여겨졌던 보수단체의 전단지에는 수거한 직원들의 지문만 남아 있어 용의자를 찾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재 발생 시간대에 현충원 인근 편의점에서 술을 사는 모습이 포착돼 수사 선상에 올랐던 중년 남성 역시 이번 사건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경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