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조기 상용화 가능성 높여
줄기세포를 이용해 뇌경색 등 혈관성 난치병 환자에 대한 대규모 임상 치료가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
이에 따라 줄기세포를 통한 각종 질병의 치료가 조기에 상용화될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 치료의 경우 대상 환자수가 적고 치료 효과와상용화에 대한 의문이 해소되지 않았으나 이번 결과로 줄기세포의 실용화에 상당한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복지부는 9일 기존 치료법으론 정상적인 생활이 힘든 뇌경색과 버거씨병 등혈관성 난치병환자 74명을 대상으로 환자 자신의 골수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이용,치료한 결과 64명에서 치료효과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치료에는 뇌신경계질환 유전체연구센터와 근골격계 바이오 장기센터, 가톨릭대, 전북대가 공동연구팀으로 참여했으며 뇌경색 환자 5명과 말초혈관이 막혀 들어가는 버거씨병 환자 23명, 혈액장애로 뼈가 썩는 대퇴골무 무혈성 괴사 환자 11명,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뼈골절후 뼈가 붙지 않는 환자 35명 등이 임상치료 대상이됐다.
치료에선 특히 △줄기세포 치료시 발생할 수 있는 암 발생 등의 부작용이 없었는데다 △환자가 면역 거부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줄기세포를 각 장기에 주입한뒤 장기의 기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됐음이 확인된 것이 큰 성과로 꼽힌다.
혈관 장애 질환은 국내에 35만여명의 환자가 있으며 연간 약 5조원의 막대한 의료비가 소요되고 있다.
뇌경색의 경우 뇌의 혈류가 회복돼도 전신마비나 언어장애등 심각한 후유증이 남는다.
연구팀은 "줄기세포 치료효과에 대한 의문이 일소되고 줄기세포 치료의 상용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임상치료에 참여한 난치병 환자들이 대부분 고령이어서 자기 골수로부터 채취한 줄기세포의 치료기능이 약화돼 있는 상태였다"면서 "앞으로 난치병 환자들의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선 다른 사람의 줄기 세포를 이용한 동종줄기세포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이들 연구팀에 총 40억원을 지원한 것을 비롯, 현재까지 줄기세포 분야 연구를 위해 총 180억원을 지원해오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