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검의 현대자동차 노조 취업비리 수사가 장기화하고 있다.
검찰이 지난달 10일 전.현 노조 간부 정모(41.구속)씨와 김모(43.〃)씨, 또 다른 김모(43.〃)씨 등 3명을 긴급체포하면서 본격화 된 수사가 9일로 1개월째이나 성과가 기대에 못미치고 있다.
검찰은 지금까지 4∼5차례 금융계좌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노조 간부를 비롯해 무려 400여명의 계좌를 추적하고 있으며,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사무실에 대해서도 두 차례 압수수색을 했었다.
수사의 초점은 노조 간부가 취업 희망자의 부탁에 따라 회사에 '입사 추천'을해주고 돈을 받았느냐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이 같은 혐의(근로기준법 위반)로 구속된 전.현 노조간부는 7명이다.
이들은 대부분 대의원 신분이어서 '개인적 비리'로 규정할 수밖에 없으며, '조직적 비리' 단서를 포착하기 위해 취업비리가 집중됐던 10대 노조(2002∼2003년) 집행부 핵심 간부들에 대한 수사가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당시 이헌구 위원장을 비롯한 핵심 간부들도 입사 추천을 해 준 사례가많이 확인됨에 따라 이들을 사정권에 두고 본인과 가족, 친인척 계좌까지 정밀 추적하고 있다.
그러나 검찰이 "노조 집행부가 수사의 최종 목적지"라고 강조하고 있는 것과는달리 추적해야 할 계좌가 너무 많고 돈의 흐름도 워낙 복잡해 수사 속도가 예상보다느리다.
검찰은 이날 "늦어도 이 달 안에는 중간 수사발표를 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 때문에 수사 과정에서 불거진 납품업자로부터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이나 노조 집행부 및 간부들의 차명계좌 운용 의혹까지 규명되려면 빨라도 다음 달 중순에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이 2002년 당시 노조 집행부가 핵심간부 가족 명의의 차명계좌를 운용하며8억여원을 관리한 사실을 적발하긴 했으나 노조가 "파업을 앞두고 회사의 압류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하고 나섬에 따라 비리 연관성을 찾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 노조를 비롯한 지역 노동계에서는 "검찰이 노조를 무력화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며 되레 검찰을 압박하려 하고 있다. 울산지검 이재원 차장검사는 "취업비리는 물론 그동안 제기된 의혹들을 모두 배제하지 않고 수사하고 있다"며 "당시 집행부에 대해 의심이 가는 부분이 있으나 확인 절차가 어렵다"고 말했다. (울산/연합뉴스)
이 때문에 수사 과정에서 불거진 납품업자로부터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이나 노조 집행부 및 간부들의 차명계좌 운용 의혹까지 규명되려면 빨라도 다음 달 중순에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이 2002년 당시 노조 집행부가 핵심간부 가족 명의의 차명계좌를 운용하며8억여원을 관리한 사실을 적발하긴 했으나 노조가 "파업을 앞두고 회사의 압류에 대비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하고 나섬에 따라 비리 연관성을 찾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 노조를 비롯한 지역 노동계에서는 "검찰이 노조를 무력화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냐"며 되레 검찰을 압박하려 하고 있다. 울산지검 이재원 차장검사는 "취업비리는 물론 그동안 제기된 의혹들을 모두 배제하지 않고 수사하고 있다"며 "당시 집행부에 대해 의심이 가는 부분이 있으나 확인 절차가 어렵다"고 말했다. (울산/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