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보를 건설하려고 가물막이 공사를 하고 있는 경남 합천군 덕곡면 공사현장에 9일 ‘행복4강 활짝 웃어라 대한민국 강들아’라는 글이 적힌 펼침막이 철제구조물에 붙어 있다. 합천/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민주당 “토목공사탓 복지위축 부각시킬 것”
민노당, 권역별 훼손실태 실시간 감시 나서
민노당, 권역별 훼손실태 실시간 감시 나서
6·2지방선거를 앞두고 야권이 4대강 사업에 일제히 심판의 칼날을 겨누고 있다. 공사 구간별 침수 피해·수질오염·생태계 훼손 등을 짚는 한편 과도한 토목공사에 따른 민생예산 삭감 문제를 강조하며, 이명박정부의 대표적인 실정으로 쟁점화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야 5당은 지난 8일 야권연대의 일환으로 4대강 사업 공사 저지를 목표로 내세우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행동에 착수했다. 민주당 4대강 사업저지 특별위원회(집행위원장 이석현 의원)는 3월 한 달 동안 4대강 공사 현장을 찾아 식수·홍수·침수·오염·재정 악화 문제 등을 집중 제기할 예정이다. 한강(11일)에선 강천보·이포보의 퇴적 오염토를 조사하고, 팔당댐 주변 유기농지에서 파종행사를 벌이기로 했다. 16, 18일엔 각각 낙동강 하류와 상류를 찾아 문화재와 습지 훼손 등을 짚고, 21일엔 4대강 저지 공약을 선포한 뒤 23일엔 영산강에서 침수피해·생태계 현장 조사 등을 벌이기로 했다. 민주노동당은 한강(이정희)·영산강(곽정숙)·낙동강(권영길)·금강(홍희덕) 등 4대강 권역을 의원들이 나눠 맡아 수시로 현장을 방문하는 한편, 전국의 지역위원회와 협조해 실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민노당은 4대강 감시단 트위터(www.twitter.com/4gangminno)를 개설해 공사 현장의 오염 사고에 대한 제보를 받으면 트위터를 통해 사진과 영상을 배포하기로 했다. 쟁점 전파 속도가 빠른 누리꾼들의 관심을 끌려는 전략이다. 야권은 ‘4대강 심판론’으로 지역의 생활정치 이슈를 선점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원혜영 민주당 의원은 “부자감세가 지방자치단체 재정의 ‘입구’에 해당한다면 4대강 사업은 ‘출구’에 해당한다”며 “4대강 공사 때문에 지역의 복지사업이 얼마나 위축되는가를 주민들에게 전달하면 설득력이 있다”고 말했다. 가뜩이나 부자감세로 지방재정이 악화한 터에 4대강 공사로 지역의 복지사업이 축소됐다는 점을 알리면 유권자들의 호응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민주당은 이미 지난해 10월 수원 장안 재보궐선거에서 ‘4대강 심판론’으로 선거에서 승리한 경험이 있다. 당시 이찬열 민주당 후보는 박찬숙 한나라당 후보가 내세우는 지역개발 공약을 ‘4대강’으로 되치기해 성공을 거뒀다. 가령 박 후보가 “지하철 연장을 하겠다”고 펼침막을 내걸면, 이 후보는 바로 옆에 “4대강을 막으면 지하철 연장을 할 수 있다”고 나란히 써붙이는 식이었다. 당시 이찬열 후보를 현장에서 도왔던 권훈 보좌관은 “한나라당 지지자들조차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복지 축소, 나라빚 증가를 우려하는 의견이 절반 이상이었다. 4대강 심판론이 승리를 이끄는데 주된 요인이 됐다”고 말했다. 야권은 종교계의 힘도 기대하고 있다. 불교계·가톨릭 뿐 아니라 개신교 내부에서도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종교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많이 받는 신도들의 표심도 자연스레 야당으로 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