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가 참치를 '멸종 위기종(種)'으로 지정하려 해 결과가 주목된다.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면 국제적 거래가 금지된다.
당장은 대서양과 지중해에서 잡히는 참다랑어가 대상이지만 다른 지역의 참치류 전반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우리 식탁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
10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13∼25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릴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의 국제무역에 관한 협약(CITES)' 회의에서는 대서양과 지중해 연안산(産) 참다랑어를 수출입 금지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논의된다.
참다랑어는 참치류 중 최고급 어종으로, 주로 횟감으로 쓰인다.
모나코는 작년 10월 '대서양의 참다랑어 개체 수가 50년 전에 비해 74%나 줄었다'며 수출입 금지를 제안했다.
CITES에는 전체 175개 나라가 회원국으로 가입해 있는데 회의 참가국의 3분의 2 이상이 이 안을 지지하면 대서양 참다랑어는 수출입이 금지된다.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 등 주요 국가들은 찬성하고 있다. EU에선 참다랑어 조업국인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이 반대하는 정도다.
대서양 참다랑어의 수출입이 금지돼도 당장 국내 산업이나 식탁에 큰 문제는 없다.
우리 원양어선이 이 수역에서 잡는 참다랑어는 연간 100t 정도에 그치고, 참다랑어는 국내에서 소량이 횟감으로 소비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가정에서 흔히 먹는 참치 통조림은 가다랑어나 날개다랑어이고, 횟집이나 초밥집에서 먹는 참치도 참다랑어보다 급이 낮은 눈다랑어나 황다랑어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단 참치류가 멸종 위기종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 다른 해역에서 잡는 참다랑어도, 또 눈다랑어.황다랑어.가다랑어 같은 다른 참치종도 멸종 위기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CITES는 국가 간 거래만 규제하고 있어 우리 국적 원양어선이 참치를 잡아 국내에 유통시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참치가 주력 수출 품목이고, 국내 원양업계가 태평양산 참다랑어를 다량 어획해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참치 규제가 확산되면 산업의 위축 등 타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이웃나라 일본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전 세계에서 어획된 참다랑어의 70∼80%를 소비하는 최대 수입국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서양에서 수입하는 참다랑어는 전체 소비량의 3분의 1이 넘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일본과 국제 공조에 나설 계획이다. 일본의 'SOS' 요청도 있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수산업 보호는 물론 주요 식품의 하나인 참치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멸종 위기종 지정을 막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 (서울=연합뉴스)
우리 원양어선이 이 수역에서 잡는 참다랑어는 연간 100t 정도에 그치고, 참다랑어는 국내에서 소량이 횟감으로 소비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가정에서 흔히 먹는 참치 통조림은 가다랑어나 날개다랑어이고, 횟집이나 초밥집에서 먹는 참치도 참다랑어보다 급이 낮은 눈다랑어나 황다랑어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단 참치류가 멸종 위기종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 다른 해역에서 잡는 참다랑어도, 또 눈다랑어.황다랑어.가다랑어 같은 다른 참치종도 멸종 위기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나마 CITES는 국가 간 거래만 규제하고 있어 우리 국적 원양어선이 참치를 잡아 국내에 유통시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참치가 주력 수출 품목이고, 국내 원양업계가 태평양산 참다랑어를 다량 어획해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참치 규제가 확산되면 산업의 위축 등 타격이 불가피하다. 특히 이웃나라 일본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전 세계에서 어획된 참다랑어의 70∼80%를 소비하는 최대 수입국이기 때문이다. 특히 대서양에서 수입하는 참다랑어는 전체 소비량의 3분의 1이 넘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일본과 국제 공조에 나설 계획이다. 일본의 'SOS' 요청도 있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 수산업 보호는 물론 주요 식품의 하나인 참치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멸종 위기종 지정을 막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성호 기자 sisyph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