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과의 소통·도덕성·능력 등
희망과대안 ‘판단 기준’ 제시
희망과대안 ‘판단 기준’ 제시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민사회진영에서 ‘좋은 후보’의 자격·기준을 제안하고 나섰다.
시민사회의 정치참여 등을 위해 구성된 희망과대안(공동운영위원장 백승헌 등)은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숭동 흥사단 강당에서 ‘시민들이 생각하는 좋은 후보’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한테 도움을 줄 ‘판단 기준’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풀뿌리 좋은 정치 네트워크’의 하승수 변호사 등 시민사회진영 인사들뿐 아니라 조정식 민주당 의원, 오정례 창조한국당 사무부총장, 전권희 민주노동당 전략기획실장 등 야3당 공천 담당자들도 함께했다.
하 변호사는 토론회 발제를 통해 “좋은 후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후보자들한테 일정한 내용의 서약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며 ‘지방의원 서약서’를 작성해 제시했다. 그는 서약서에 △수시로 의회보고회(또는 간담회)를 열어 시민과 의회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의원에게 제공되는 모든 정보를 인터넷 등을 통해 주민들과 공유하며 △예산편성·결산심의 때는 시민사회단체나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주민참여예산제, 주민참여기본조례 등 주민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각종 조례를 입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등의 구체적 실천 방안을 담았다.
직접 ‘후보 검증표’를 제시한 지역 풀뿌리 단체도 있었다. 김민문정 고양무지개연대 기획팀장은 △도덕성(성실 납세·병역의무 이행 등) △민주주의 기여도 및 개혁성(민주주의 발전과 지역사회 개혁을 위한 공약 존재 여부) △직무수행 능력(참신한 정책 및 비전제시 능력) 등의 지표를 정해 평가하는 배점표를 제시했다. 그는 “후보 검증표를 이용해 1차 서면 검증을 한 뒤, 언론기관 등 외부기관의 여론조사 결과 등으로 2차 검증을 해 좋은 후보를 선정하는 방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기훈 광주희망과대안 사무처장은 “좋은 후보 기준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당선 이후에도 약속대로 일할 수 있도록 추동하는 장치가 필요하다”며 “광주에서는 지방선거 이후 시민정치를 일상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시민정치네트워크’를 구성해 당선자와 지속적으로 연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