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혁명, 4·19혁명 그리고 3·15의거
4월혁명은 한국전쟁 이후, 사회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사건이었다. 4월혁명의 시간적·공간적 범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는 이견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1960년 3월과 4월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를 항의하는 집회 및 시위와 정권이 붕괴된 후 계속된 정치·사회적 변화를 지칭한다. 이를 사건으로 국한해 보면, 1960년 2월 28일부터 4월 27일까지 전국에서 비연속적으로 전개된 일련의 집회와 시위들을 말한다. 그 동안 4월혁명보다는 2·28학생의거, 3·15의거 그리고 4·19혁명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고, 익숙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4·19혁명이 공식적 명칭으로 사용되어왔고, 현재에도 그러하다. 저항적 혹은 공식화를 위한 기억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기 전에는 4월혁명의 명칭과 대상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4월혁명이 시간 혹은 지역에 따라 분화 및 특화되면서, 위의 세 가지 사건들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이 세 가지 사건들 가운데 이번 호에서는 3·15의거를 다루고, 다음 달에는 4·19혁명을 조명하고자 한다. 마산에서는 1960년 3월과 4월에 크게 세 차례의 거리시위가 전개되었다. 첫 번째는 3월 15일 민주당 마산시당의 ‘선거불법무효선언’을 계기로 촉발되어 이튿날 새벽까지 시내 전역에서 이루어졌다. 두 번째는 첫 시위에서 행방불명된 김주열의 사체가 4월 11일 마산 앞 바다에 떠오르자, 이를 목격한 학생과 시민들이 이승만 정권에 대한 반대를 외치며 15일까지 시위를 벌였다. 그리고 세 번째는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성명이 발표된 이후인 26일과 27일 부산에서 출발한 시위대 약 2,000명이 마산과 그 일대의 시와 군들을 횡단하는 것이었다. 위 사건들 가운데, 마산 시민들은 자신들이 시위를 주도하였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만을 3·15의거의 대상에 포함시키고, 세 번째 시위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어쨌든 3·15의거에서 사망자가 14명과 부상자는 250여명이 발생하였다.
3·15의거의 분리 선언 1990년대 중반부터 3·15의거는 4·19혁명과 일정하게 분리된 독자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는 4월혁명 직후부터 시작되었으나 5·16 군사쿠데타 이후 이루어진 기념사업을 통해, 그리고 5·16군사정권에 의한 4월혁명 관련 단체들의 해산 지시에 의해 봉합되고 억압되었다. 그 후 1993년에 문민정부가 4·19혁명에 대한 기념사업을 발표하고, 4·19를 ‘의거’에서 ‘혁명’으로 격상하면서, 3·15의거의 독자성을 추구하려는 노력들이 다시 본격화되었다. 마산 사람들은 4·19혁명이 3·15의거로부터 촉발된 것임을, 그리고 이 두 사건이 일정하게 차별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했다. 3·15의거가 4·19혁명의 범주에서 독립하려는 경향은 사건이 지닌 시간적·공간적 차별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3·15의거가 4월혁명에서 갖는 선도성과 상징성을 보다 강조하고 특권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도 있다. 즉 3·15의거에서 처음으로 4월혁명의 단초가 형성되었고, 경찰의 발포로 사망자가 발생하였다는 점, 그리고 4월혁명의 상징적 인물인 김주열이 마산에서 사망하였다는 점 등을 강조해 왔다. 이러한 주장은 문민정부의 ‘역사 바로 세우기’ 프로젝트가 실현되면서 힘을 얻었다. 그리고 구체적 실천은 4월혁명 전체를 포괄한 집단 묘지인 국립 4·19묘지와 분리된 새로운 집단 묘지의 조성으로 나타났다. ‘3·15성역공원’ 조성사업으로 명명된 3·15의거 기념사업은 처음부터 국립묘지를 지향했다. 그래서 국립 4·19묘지와 비슷한 규모로 조성하려 했고, 묘지의 배치나 구성요소 등에 있어서도 일부 다른 점이 있긴 하지만 유사성을 간직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는 3·15성역공원의 위상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갖고 있었다. 3·15성역공원을 국립 4·19묘지의 분묘지로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한 마산 지역의 반대 여론은 4·19혁명과 3·15의거의 경계선을 다시 한번 분명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특히 이는 1992년 3월과 4월에 경상남도에서 발행되고 있던 지역신문들에 실린 기사와 주장들에서 잘 확인된다. 내용을 압축해 보면 다음과 같다. 3·15의거가 4·19혁명에 예속되어 있었으나, 3·15의거에서 4·19혁명이 파생된 것이며(경남도민일보, 2002. 3. 12), 3·15의거와 4·19혁명은 엄연히 정체성이 다르다(경남일보, 2002. 3. 18). 3·15성역공원이 국립묘지가 된 것은 5·18묘지가 국립묘지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다(경남도민일보, 2002. 3. 26). 그리하여 2002년 8월 1일에 3·15성역공원은 국립 3·15묘지가 되었다. 정 호 기(한국현대사회연구소 연구원)
3·15의거의 분리 선언 1990년대 중반부터 3·15의거는 4·19혁명과 일정하게 분리된 독자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는 4월혁명 직후부터 시작되었으나 5·16 군사쿠데타 이후 이루어진 기념사업을 통해, 그리고 5·16군사정권에 의한 4월혁명 관련 단체들의 해산 지시에 의해 봉합되고 억압되었다. 그 후 1993년에 문민정부가 4·19혁명에 대한 기념사업을 발표하고, 4·19를 ‘의거’에서 ‘혁명’으로 격상하면서, 3·15의거의 독자성을 추구하려는 노력들이 다시 본격화되었다. 마산 사람들은 4·19혁명이 3·15의거로부터 촉발된 것임을, 그리고 이 두 사건이 일정하게 차별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했다. 3·15의거가 4·19혁명의 범주에서 독립하려는 경향은 사건이 지닌 시간적·공간적 차별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3·15의거가 4월혁명에서 갖는 선도성과 상징성을 보다 강조하고 특권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도 있다. 즉 3·15의거에서 처음으로 4월혁명의 단초가 형성되었고, 경찰의 발포로 사망자가 발생하였다는 점, 그리고 4월혁명의 상징적 인물인 김주열이 마산에서 사망하였다는 점 등을 강조해 왔다. 이러한 주장은 문민정부의 ‘역사 바로 세우기’ 프로젝트가 실현되면서 힘을 얻었다. 그리고 구체적 실천은 4월혁명 전체를 포괄한 집단 묘지인 국립 4·19묘지와 분리된 새로운 집단 묘지의 조성으로 나타났다. ‘3·15성역공원’ 조성사업으로 명명된 3·15의거 기념사업은 처음부터 국립묘지를 지향했다. 그래서 국립 4·19묘지와 비슷한 규모로 조성하려 했고, 묘지의 배치나 구성요소 등에 있어서도 일부 다른 점이 있긴 하지만 유사성을 간직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국가보훈처는 3·15성역공원의 위상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갖고 있었다. 3·15성역공원을 국립 4·19묘지의 분묘지로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한 마산 지역의 반대 여론은 4·19혁명과 3·15의거의 경계선을 다시 한번 분명하게 하는 과정이었다. 특히 이는 1992년 3월과 4월에 경상남도에서 발행되고 있던 지역신문들에 실린 기사와 주장들에서 잘 확인된다. 내용을 압축해 보면 다음과 같다. 3·15의거가 4·19혁명에 예속되어 있었으나, 3·15의거에서 4·19혁명이 파생된 것이며(경남도민일보, 2002. 3. 12), 3·15의거와 4·19혁명은 엄연히 정체성이 다르다(경남일보, 2002. 3. 18). 3·15성역공원이 국립묘지가 된 것은 5·18묘지가 국립묘지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다(경남도민일보, 2002. 3. 26). 그리하여 2002년 8월 1일에 3·15성역공원은 국립 3·15묘지가 되었다. 정 호 기(한국현대사회연구소 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