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에서 무상급식이 최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경제상황의 악화 등으로 학교 급식비를 연체한 학생 수가 최근 3년 동안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주선 민주당 의원은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로부터 제출받은 ‘2006~2008년 초·중·고 학생의 학교 급식비 연체현황’ 자료를 22일 공개했다. 자료를 보면, 한 달 이상 학교 급식비를 연체한 학생 수는 2006년 1만6953명에서 2008년에는 3만1908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연체액도 같은 기간 동안 19억2552만원에서 39억2780만원으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서울(4661명)·경기(7952명) 등 대도시에 학교 급식비를 연체한 학생이 많았으며, 특히 경상북도의 경우 2006년 366명에 불과하던 급식비 연체 학생 수가 2008년 2275명으로 6배나 많아졌다. 또 대구·부산·충남·대전 등에서도 3년 사이 급식비 연체 학생 수가 3~4배 이상 늘어났다. 연체액 규모로는 인천이 가장 크게 증가해 2006년 2146만원에 불과하던 급식비 연체액이 2008년에는 4억4955만원으로 불어났다.
이 수치는 교과부가 미국발 경제위기가 심화되기 전인 2008년까지의 전국 지자체의 현황을 취합한 것이기 때문에, 급식비를 연체한 학생 수는 그 사이 더 늘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한 예로, 경기도의 경우 2008년 말 7952명이었던 급식비 연체 학생이 8개월여 뒤인 2009년 8월께는 3만2443명까지 늘어났다. 2006년보다 10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박주선 의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이명박 정부의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얼마나 민생경제가 어려워지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라며 “무상급식을 주장하는 이들에게 ‘좌파’ 운운하며, 무상급식 문제를 저소득층의 복지 문제로 접근할 게 아니라 ‘의무 교육’을 내실있게 실현한다는 차원에서 국가가 학생들이 밥 먹는 문제만큼은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