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 최종보고서 내용
2기 역사공동위 결과 발표
일, 임나일본부·조선인 왜구설 등 ‘부적절’ 인정
강제병합·위안부 등 근현대사 쟁점은 논의못해
일, 임나일본부·조선인 왜구설 등 ‘부적절’ 인정
강제병합·위안부 등 근현대사 쟁점은 논의못해
한국과 일본 양국 정부의 지원으로 2007년 6월 출범한 ‘제2기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공동연구위)가 2년 6개월 동안의 공식활동을 마치고 23일 최종 보고서를 냈다. 양국 역사학자들로 구성된 공동연구위는 2기 활동에서도 역사 인식에 대한 양국 사이의 깊은 골을 거듭 확인했지만, 몇몇 분야의 ‘역사 왜곡’에선 일본 쪽 학자들의 시인을 끌어내 1기에 비해 진전된 성과를 내놓기도 했다.
우선, 일본의 고대국가인 야마토 정권이 4~6세기에 오늘날 경남 김해 일대의 임나(가야) 지역까지 진출해 실권을 행사했다는 ‘임나일본부’설에 대해 일본 역사학자들은 “한반도에서 왜인의 활동 흔적은 여러 곳에서 인정되지만, 왜국의 영토가 존재했다고 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또 일본 역사학자들은 “(당시) 왜국이 (한반도에서) 대대적인 군사 전개를 했다는 이해에도 재검토와 정정이 필요하다”고 시인했다. 공동연구위 한국 쪽 위원장인 조광 고려대 교수는 “양국 학자들이 임나일본부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일본 학자들은 14~15세기 왜구의 주요 구성원이 이키·쓰시마 지역의 해민과 영주 중심이라는 사실에도 동의했다. 일본의 후소사판 교과서는 왜구의 구성원에 조선인도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민감한 쟁점이 많은 개항 이후의 근현대사 부분에 대해선 양국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
한국 학자들은 “식민지 경제의 중요한 특징은 관세와 금융주권이 부재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일본 학자는 “식민지 조선에 관한 국민 경제 지표는 검토 가능한 형태로 제시돼 있다”며 에둘러 식민지 시대에 조선의 근대화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일본 학자들은 조선에서의 일본어 사용이 근대화의 실현으로 연결됐다거나 일제 전시체제에서 일본 정부가 의도적이고 조직적으로 강제 연행한 사실은 나타나지 않았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을사늑약이 황실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던 고종 황제에 의해 주도됐다고 강변한 일본 학자도 있었다.
양국 역사학자들의 공동연구는 ‘역사와의 대화’라는 큰 의미가 있지만, 한계도 뚜렷하다. 한일 강제병합이나 일제 강점기 군대 위안부 문제 등 양국의 민감한 쟁점은 2기에서 논의 주제로 선정되지 못했다. 또 양국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물이 교과서나 정부 문서에 ‘의무적으로’ 반영되는 것도 아니다. 3기 공동연구위의 출범 여부도 불투명하다. 공동연구위의 한 관계자는 “양국 정상 간의 합의가 필요하다”며 “2기 연구 결과에 대해 일본의 우익 세력이 반발할 수도 있어 출범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