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강화군에서 구제역이 급속히 확산되자, 11일 오후 방역 관계자들이 강화군 선원면 금월리에서 소와 돼지 등을 매몰처분하려고 삽차로 구덩이를 파고 있다. 강화/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경계 경보’ 내린 강화도]
마을마다 가축·주민이동 자제 호소…교회 “외지인 오지마세요”
매몰 통보받은 농민들 “증상 없는데…” 감정 극도로 예민해져
마을마다 가축·주민이동 자제 호소…교회 “외지인 오지마세요”
매몰 통보받은 농민들 “증상 없는데…” 감정 극도로 예민해져
11일 강화도는 참담한 분위기였다. 전날 농림수산식품부가 선원면과 불은면의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반경 3㎞ 안에 있는 농가 181곳에서 사육중인 가축 2만5000마리에 대한 매몰처분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소 6000마리(농가 159곳), 돼지 1만9000마리(22곳) 등 강화도 축산농가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이 지역 축산농가 대부분이 포함됐다. 권태길(53) 선원면장은 “매몰처분 면적을 반경 3㎞로 확대하는 바람에 선원면의 축산농가 80여곳이 대부분 포함됐다”며 “주민들이 극도로 예민해졌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불은면 삼성리에서 돼지 3800마리를 키우고 있는 고연준(54)씨는 “우리 가축들은 아무 증상이 없는데도 단지 발생지로부터 3㎞ 안에 있다는 이유로 매몰처분하겠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1980년대 초 부모한테 물려받아 키워온 돼지를 한꺼번에 땅에 묻으려니 비통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가 경계지역으로 설정해 통제하는,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10㎞ 안 농가 711곳에서는 6만7969마리의 가축을 사육중이다. 이는 강화군 전체에서 사육하는 가축 7만7657마리의 88%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축산농가들은 이번 구제역 발생으로 강화도에서 사육중인 가축 전체가 매몰처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까지 하고 있다.
인천시 강화군 구제역 발생지와 조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