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이 25일 오후 최보선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과 면담하려고 서울 중구 봉래동 지원단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이들은 정부에 개성공단 남쪽 인원의 신변안전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사실상 ‘심리전 유보’ 촉구
정부, 재개방침 고수키로
남쪽인원 철수 가능성도
정부, 재개방침 고수키로
남쪽인원 철수 가능성도
확성기·전광판을 이용한 국방부의 대북 심리전 방송 재개가 예정된 가운데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공단에 체류하는 남쪽 인원의 신변안전 대책 마련을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모임인 개성공단기업협의회(협의회) 대표들은 28일 오후 서울 중구의 통일부 산하 남북협력지구지원단 사무실에서 최보선 단장을 만나 “개성공단 남쪽 인원의 신변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현재 한 업체당 최대 70억원까지인 경협보험 보상 한도액을 늘려달라”고 요청했다고 이임동 협의회 사무국장이 전했다.
협의회는 이날 ‘심리전 방송 유보’를 직접 거론하진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신변안전 대책’ 요청을 통해 사실상 ‘유보’를 정부에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입주기업 대표는 “정부의 대북 심리전 방송이 재개되면 개성공단 통행을 차단하겠다고 북쪽이 공언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쪽 체류인원의 신변안전을 위해선 심리전 방송을 유보할 필요가 있다는 게 협의회 내부의 공통된 의견”이라고 말했다. 개성공단기업협의회엔 개성공단 초창기에 입주한 업체 중심으로 모두 58개 기업이 가입해 있다.
이런 요청에도 정부는 대북 심리전 방송 재개 방침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북 심리전 문제와 개성공단의 육로통행 차단을 연결하는 것은 북한의 부당한 대응”이라며 “북한의 위협에 흔들리지 않고 이미 밝힌 대북조치를 흔들림 없이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심리전 방송 재개에 앞선 남쪽 인원의 전면철수 여부에 대해 정부 핵심 당국자는 “우리는 개성공단 유지가 원칙인 만큼 현재로선 북쪽이 위협한다고 우리가 먼저 인원을 철수시키지는 않는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북 심리전 방송 재개에 따른 ‘억류’사태를 막기 위해선 사전 철수가 최선이라는 견해가 국방부를 중심으로 계속 제기되고 있어, 이후 북쪽의 대응 정도에 따라 철수 시나리오가 떠오를 가능성도 있다.
손원제 김성환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