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대하는 친구집 8300만원어치 털어
군대 가는 친구 집에서 6천만원짜리 곰털 코트 등을 훔친 대학생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기 일산경찰서는 15일 군에 입대하는 친구 집에서 모피 코트와 핸드백 등을 훔친 혐의(절도)로 이아무개(19·대학생)씨의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씨는 4월25일 오전 6시께 고등학교 동창인 정아무개(20·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씨 집에 몰래 들어가 6천만원짜리 곰털 코트와 1천만원짜리 호피 코트, 명품 핸드백 등 모두 8300만원어치를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이씨는 군에 입대하는 친구 정씨의 환송식이 끝난 뒤 정씨 집에서 자면서 집 열쇠를 훔쳤고, 다음 날 정씨 가족들이 모두 신병교육대로 환송을 나간 사이 다시 정씨 집에 들어가 물건을 훔친 것으로 드러났다.고양/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한국원자력연구원 작년이어 또 방사능 누출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지난해에 이어 최근에도 방사능이 누출된 것으로 조사돼 과학기술부가 합동조사단을 꾸려 원인 조사에 나섰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11일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연구소 주변의 빗물을 측정했더니 0.611~0.000459 Bq/ℓ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앞서 대전지방방사능측정소가 지난 5월 실시한 빗물 분석에서도 0.0017 Bq/ℓ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연구원은 “측정된 방사능 수치가 기준치 이내여서 환경이나 사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치”라며 “현재 과학기술부와 원자력안전기술원이 공동으로 누출 원인을 찾고 있다”고 해명했다. 대전충남 녹색연합은 “지난해 4~5월 하나로 중수 누출 사고에 이어 또다시 방사능 누출사고가 일어나 대전 시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며 “정부와 원자력연구원은 진상조사와 안전장치 마련, 주민안전을 위한 민관협의기구 구성 등 시민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이라”고 촉구했다.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군 휴양시설 '계룡스파텔' 노조 결성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는 육군복지근무지원단 직영 휴양시설인 계룡스파텔 노동자들이 ‘육군복지근무지원단 노동조합(위원장 김태원)’을 설립해 지난 13일 유성구청으로부터 설립신고필증을 교부받았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주한미군에는 노조가 있으나 우리나라 군 관련시설 안에 노조가 설립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육군복지단 노조는 서귀포호텔, 용사의 집, 육군회관 등 전국 10여개 복지단 직영시설 근무자를 가입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계룡스파텔 소속 80여명의 노동자들이 가입했다. 유성구청 관계자는 “현재 계룡스파텔에는 현역장병, 군무원, 근무자 등 세 직군의 종사자가 있다”며 “이 가운데 근무자는 현역군인이나 군무원이 아니기 때문에 노조설립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민노총 대전지역본부 관계자는 “군도 이미 많은 변화 과정을 거쳐와 헌법과 법에 보장된 노동자들의 노조결성을 백안시하지 않으리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계룡스파텔 노동자들은 지난 2003년에도 노조결성을 시도했다가 사용자 쪽과 합의로 해산되는 과정을 겪기도 했다. 대전/손규성 기자 sks2191@hani.co.kr 법조공무원 111명 장기기증 서약
법원공무원노동조합은 15일 서울 서초동 법원청사 사무실에서 법원 직원 111명의 장기기증서약서를 재단법인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에 전달했다. 법원노조는 4월부터 전국 법원 직원을 대상으로 장기기증 희망등록신청을 받아왔다. 곽승주 노조위원장은 “국민의 신뢰를 받는 법원노조를 만들기 위한 첫 사업으로 장기기증운동에 동참하게됐다”며 “앞으로도 법원 안에서 장기기증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벌여 1만4천명의 법원직원들 뿐 아니라 판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민관 마약퇴치 발전협의회 문열어
서울경찰청 마약수사대는 15일 마약단속 유관기관과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서울 민·관 마약퇴치 발전협의회 창립대회를 열었다. 이 협의회는 마약류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 마약수사 기법과 예방법, 국제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화여대 약학대학 이승진 교수를 위원장으로 국가정보원, 관세청, 식약청,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해양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마약퇴치운동본부, 대한약사회, 한국제약협회 등 민간 전문기관이 총망라됐다. 협의회는 분기마다 정기회의를 열어 정보를 공유하고 체계적인 마약 단속·감시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군대 가는 친구 집에서 6천만원짜리 곰털 코트 등을 훔친 대학생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기 일산경찰서는 15일 군에 입대하는 친구 집에서 모피 코트와 핸드백 등을 훔친 혐의(절도)로 이아무개(19·대학생)씨의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이씨는 4월25일 오전 6시께 고등학교 동창인 정아무개(20·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씨 집에 몰래 들어가 6천만원짜리 곰털 코트와 1천만원짜리 호피 코트, 명품 핸드백 등 모두 8300만원어치를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이씨는 군에 입대하는 친구 정씨의 환송식이 끝난 뒤 정씨 집에서 자면서 집 열쇠를 훔쳤고, 다음 날 정씨 가족들이 모두 신병교육대로 환송을 나간 사이 다시 정씨 집에 들어가 물건을 훔친 것으로 드러났다.고양/유신재 기자 ohora@hani.co.kr 한국원자력연구원 작년이어 또 방사능 누출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지난해에 이어 최근에도 방사능이 누출된 것으로 조사돼 과학기술부가 합동조사단을 꾸려 원인 조사에 나섰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11일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연구소 주변의 빗물을 측정했더니 0.611~0.000459 Bq/ℓ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앞서 대전지방방사능측정소가 지난 5월 실시한 빗물 분석에서도 0.0017 Bq/ℓ의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연구원은 “측정된 방사능 수치가 기준치 이내여서 환경이나 사람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치”라며 “현재 과학기술부와 원자력안전기술원이 공동으로 누출 원인을 찾고 있다”고 해명했다. 대전충남 녹색연합은 “지난해 4~5월 하나로 중수 누출 사고에 이어 또다시 방사능 누출사고가 일어나 대전 시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며 “정부와 원자력연구원은 진상조사와 안전장치 마련, 주민안전을 위한 민관협의기구 구성 등 시민단체의 요구를 받아들이라”고 촉구했다.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군 휴양시설 '계룡스파텔' 노조 결성
민주노총 대전지역본부는 육군복지근무지원단 직영 휴양시설인 계룡스파텔 노동자들이 ‘육군복지근무지원단 노동조합(위원장 김태원)’을 설립해 지난 13일 유성구청으로부터 설립신고필증을 교부받았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주한미군에는 노조가 있으나 우리나라 군 관련시설 안에 노조가 설립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육군복지단 노조는 서귀포호텔, 용사의 집, 육군회관 등 전국 10여개 복지단 직영시설 근무자를 가입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 계룡스파텔 소속 80여명의 노동자들이 가입했다. 유성구청 관계자는 “현재 계룡스파텔에는 현역장병, 군무원, 근무자 등 세 직군의 종사자가 있다”며 “이 가운데 근무자는 현역군인이나 군무원이 아니기 때문에 노조설립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민노총 대전지역본부 관계자는 “군도 이미 많은 변화 과정을 거쳐와 헌법과 법에 보장된 노동자들의 노조결성을 백안시하지 않으리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계룡스파텔 노동자들은 지난 2003년에도 노조결성을 시도했다가 사용자 쪽과 합의로 해산되는 과정을 겪기도 했다. 대전/손규성 기자 sks2191@hani.co.kr 법조공무원 111명 장기기증 서약
법원공무원노동조합은 15일 서울 서초동 법원청사 사무실에서 법원 직원 111명의 장기기증서약서를 재단법인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에 전달했다. 법원노조는 4월부터 전국 법원 직원을 대상으로 장기기증 희망등록신청을 받아왔다. 곽승주 노조위원장은 “국민의 신뢰를 받는 법원노조를 만들기 위한 첫 사업으로 장기기증운동에 동참하게됐다”며 “앞으로도 법원 안에서 장기기증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벌여 1만4천명의 법원직원들 뿐 아니라 판사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민관 마약퇴치 발전협의회 문열어
서울경찰청 마약수사대는 15일 마약단속 유관기관과 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서울 민·관 마약퇴치 발전협의회 창립대회를 열었다. 이 협의회는 마약류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 마약수사 기법과 예방법, 국제 협력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됐다. 이화여대 약학대학 이승진 교수를 위원장으로 국가정보원, 관세청, 식약청, 국립과학수사연구소, 해양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마약퇴치운동본부, 대한약사회, 한국제약협회 등 민간 전문기관이 총망라됐다. 협의회는 분기마다 정기회의를 열어 정보를 공유하고 체계적인 마약 단속·감시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