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능한 리더 되려면 인격 쌓아라”
“부하들 수준에서 대화하고 기뻐하면서 그들의 사기를 북돋워 줄 수 있어야 한다”
군 리더십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미국의 에드가 에프 퍼이어 박사가 15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현역 장성 등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직원 500여명을 대상으로 ‘미래지향적 군 조직에 요구되는 리더의 인격과 역량’이라는 주제의 리더십 강연을 했다.
퍼이어 박사는 이날 강연에서 “지난 40여 년 간 150명의 미군 장성들을 직접 인터뷰한 결과, 유능한 리더가 되는 길은 인격을 쌓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며, 훌륭한 리더의 우선 조건으로 인격수양을 꼽았다.
‘인품 리더십’ 전형, 아이젠하워
‘내가 책임진다’ 는 자세 중요
“육감은 리더 역량에서 나오고
역량은 독서량에 비례한다” 그는 “150명의 장성 가운데 가장 인상에 남는 인물이 제3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아이젠하워 장군이었다”며 “그는 훌륭한 인품에 바탕을 둔 리더십으로 대통령까지 오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설령 부하의 실수로 잘못된 결정이 나와도 부하가 그렇게 하기까지 근거가 있으면 부하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문제의 원인을 따지려 하지 말고 해결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는 ‘모든 것은 내가 책임진다’는 자세와 리더의 인격에서 비롯된다”고 역설했다. 그는 “리더는 부하의 실수를 이해하고 가르치는 스승 정신(멘토십)을 발휘해야 하고, 쇼맨십이 있어야 한다”며 “부하에 대한 포용력과 애타심 등을 바탕으로 한 인격수양이 훌륭한 리더가 되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리더는 ‘예스맨’을 피하고 아첨꾼을 조심해야 한다”며 “욕을 먹더라도 정확히 보고하는 부하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리더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육감으로 결단을 내려야 할 때도 있다”며 “육감은 리더의 역량에서 나오고 그 역량은 독서량에 비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휘관은 혼자서 (일을) 도맡아 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에게 어느 정도 위임하면서 부하들이 책임을 지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결단을 내리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퍼이어 박사는 미 프린스턴 대학과 버지니아 대학에서 정치학과 법학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하고, 미국 육·공군 참모총장의 자문관을 거쳐 1995년부터 미 국방대학 리더십 석좌교수를 맡고 있다. 윤광웅 국방장관은 그의 저서 ‘아메리칸 제너럴십’에 감명을 받아 퍼이어 박사를 초청하도록 했으며, 이날 강연에 앞서 “우리의 군 구조는 미국식 제도를 따왔지만 머릿속에는 여전히 군국주의 시대 일본의 마인드가 도처에 잔재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성걸 기자 skkim@hani.co.kr
‘내가 책임진다’ 는 자세 중요
“육감은 리더 역량에서 나오고
역량은 독서량에 비례한다” 그는 “150명의 장성 가운데 가장 인상에 남는 인물이 제3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아이젠하워 장군이었다”며 “그는 훌륭한 인품에 바탕을 둔 리더십으로 대통령까지 오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설령 부하의 실수로 잘못된 결정이 나와도 부하가 그렇게 하기까지 근거가 있으면 부하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문제의 원인을 따지려 하지 말고 해결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는 ‘모든 것은 내가 책임진다’는 자세와 리더의 인격에서 비롯된다”고 역설했다. 그는 “리더는 부하의 실수를 이해하고 가르치는 스승 정신(멘토십)을 발휘해야 하고, 쇼맨십이 있어야 한다”며 “부하에 대한 포용력과 애타심 등을 바탕으로 한 인격수양이 훌륭한 리더가 되는 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리더는 ‘예스맨’을 피하고 아첨꾼을 조심해야 한다”며 “욕을 먹더라도 정확히 보고하는 부하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리더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육감으로 결단을 내려야 할 때도 있다”며 “육감은 리더의 역량에서 나오고 그 역량은 독서량에 비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휘관은 혼자서 (일을) 도맡아 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에게 어느 정도 위임하면서 부하들이 책임을 지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결단을 내리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퍼이어 박사는 미 프린스턴 대학과 버지니아 대학에서 정치학과 법학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하고, 미국 육·공군 참모총장의 자문관을 거쳐 1995년부터 미 국방대학 리더십 석좌교수를 맡고 있다. 윤광웅 국방장관은 그의 저서 ‘아메리칸 제너럴십’에 감명을 받아 퍼이어 박사를 초청하도록 했으며, 이날 강연에 앞서 “우리의 군 구조는 미국식 제도를 따왔지만 머릿속에는 여전히 군국주의 시대 일본의 마인드가 도처에 잔재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성걸 기자 sk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