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까지 5만9천명 수요키로
오는 2008년까지 그룹홈 등을 이용한 공공노인요양시설이 크게 확충돼 치매·중풍 등 최중증 노인 5만9천명 정도를 수용할 규모를 갖추게 된다.
보건복지부는 2007년 노인요양보장제 시행에 앞서 요양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는 판단 아래 이같은 규모의 공공노인요양시설을 당초 2011년에서 3년 앞당겨 2008년까지 갖춰 수요를 100% 충족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에 따라 일단 올해까지 한 곳당 평균 입소인원 70명 규모의 공공노인요양시설을 90곳(6300명) 신설해 총 2만5천명 규모로 확충한 뒤, 내년부터 3년 동안 3만4천명을 추가해 모두 5만9천명 규모의 공공노인요양시설을 갖출 방침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당초 계획에서는 2008년까지 총 4만4천명 규모의 공공노인요양시설을 확충하기로 돼있었으나 그럴 경우 수요에 견줘 1만5천명 규모 시설이 부족하게 된다”며 “그룹홈, 소규모 시설, 기존 시설 등을 적극 활용해 부족한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근태 복지부장관은 이날 과천정부 청사에서 노인요양보장제 시범실시 지역으로 선정된 광주 남구, 수원시, 강릉시, 안동시, 부여군, 북제주군 등 6개 지자체장들과 시범사업 이행협약을 맺었다.
안영진 기자 youngj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