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은 18일 오후 충북 충주시청 광장에서'김태환 열사 살인만행 규탄 및 특수고용직 노동3권 쟁취를 위한 전국 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이날 대회에는 전국의 노동자와 노동.시민.사회단체 대표 및 회원 등 6천여명이참석했고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을 비롯, 민주노동당 이용식.이영희.박인숙 최고위원, 전국민중연대 정광훈 상임의장,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 여사 등 많은 인사들도 자리를 함께 했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김태환 열사의 죽음은 전근대적이고썩어빠진 정부 정책과 노동행정이 빚어낸 명백한 타살"이라며 "즉각적인 진상규명과책임자 처벌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권퇴진 투쟁도 불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위원장은 또 "김태환 열사는 투쟁현장에서 살해된 최초의 노동운동가였다"고 안타까움을 표시하고 "비정규직을 확산시키는 개악안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며 국제무대에서까지 거짓말을 하는 이 정권의 노동정책이 동지를 죽였다"고 비난했다.
또 김한성 한국노총 충북본부장은 규탄사를 통해 "이 사건은 4차례의 교섭에도 응하지 않고 노조가 파업 중임에도 대체근로를 자행한 사측의 살인행위"라며 "특수고용 노동자 문제를 방치한 측면에서 노동부와 정부도 무한책임을 가진 주범중 하나"라고 규탄했다.
유족 대표인 미망인 한미희씨는 "평소 고인이 품어온 노동자에 대한 열정과 활동을 잘 알고 있다"면서 "고인의 뜻을 이루기 위한 길에 우리 유족들도 끝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대회에서는 각종 참여 단체들의 추모사와 추모시 낭독이 이어졌고 고 김의장과 함께 투쟁을 벌였던 충주 지역 레미콘 노동자 8명의 김 의장 추모 및 특수노동직 노동3권 보장을 요구하는 합동삭발식도 열렸다.
한국노총은 이번 대회를 계기로 김태환 열사의 투쟁정신을 이어 특수고용직 노동자들의 노동3권 쟁취를 위한 투쟁을 전국적, 사회적으로 확대시켜 나가기로 했다.
대회를 마친 노동자들은 오후 4시 30분께 시청을 출발, 충주경찰서까지 2.2㎞구간에서 가두행진을 벌인 뒤 경찰서 앞에서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한편 대회에 앞서 오후 2시에는 전국 100여 단체로 구성된 '김태환 열사 살인만행 규탄과 특수고용 노동자 노동3권 보장을 위한 노동시민사회단체' 대표자들이 단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노동부.행정자치부장관과 경찰청장의 해임을 요구했다.
경찰은 이날 32개 중대 3천500여명의 병력을 시청과 경찰서 주변 등에 배치,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충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