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4명·중국인 3명 탑승
정부 “단속된 좌표 확인안돼”
정부 “단속된 좌표 확인안돼”
한국인 4명과 중국인 3명이 탄 오징어잡이 어선인 ‘대승호’가 동해 북쪽 해상에서 북한에 나포돼 조사를 받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8일 “동해에서 조업하다 실종된 대승호가 북한의 배타적경제수역(EEZ)으로 추정되는 해상에서 북한 당국에 의해 단속돼 조사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해경은 “포항어업정보통신국이 이날 오후 2시35분께 위성전화로 대승호에 ‘지금 북한 경비정에 끌려가느냐’고 물었고 대승호에서 ‘네’라고 답했다”고 덧붙였다. 해경은 대승호가 함경북도 김책시에 있는 ‘성진항’으로 가고 있다고 교신한 뒤 연락이 끊겼다고 설명했다.
나포된 대승호에는 선장 김칠이(58)씨와 김정환(52), 공영목(60), 이정득(48)씨 등 남쪽 국적 4명과 중국인 3명이 타고 있었다. 대승호는 지난 1일 포항 동민항을 출발해 조업에 나섰으며, 다음달 10일 복귀할 예정이었다.
정부 당국자는 “대승호가 북쪽에 ‘단속’된 좌표는 현재로선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말해, 대승호가 북쪽 영해나 경제수역으로 들어섰다 나포됐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전문가들은 북쪽이 앞으로 어떤 방침을 밝힐지가 남북관계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북쪽이 의도적으로 어선을 나포한 것이 아니라 ‘북쪽 해역’에 들어간 남쪽 어선을 조사하기 위해 ‘단속’한 것이라면 과거 사례처럼 선원과 선박을 조건 없이 송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2005년 4월 ‘황만호’와 2006년 12월 ‘우진호’ 등은 북쪽 영해로 들어섰다가 각각 3일, 18일 만에 귀환했다. 특히 대승호에는 북쪽의 우방인 중국인 선원 3명이 탑승하고 있어, 북쪽이 크게 문제삼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있다.
하지만 북쪽이 어선 조사를 장기화하면서 남쪽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대승호 사건을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천안함 대응 강경책을 강조하는 남쪽이 물러설 가능성은 낮아, 남북 경색 국면을 심화시키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손원제 권혁철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