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 일본군 보병 75연대의 단체 사진.
간도사료 전문가 김재홍씨, 일본 보병 75연대 사진첩 공개
독립군 살상장면 찍어 ‘전리품’처럼 일본군 제대 기념으로
독립군 살상장면 찍어 ‘전리품’처럼 일본군 제대 기념으로
일제에 의한 강제병합 100돌인 29일을 앞두고, 항일무쟁투쟁사에서 가장 빛나는 승리였던 ‘봉오동·청산리 대첩’과 관련된 희귀 사진 수십장이 발굴됐다.
간도 사료 전문가인 김재홍씨는 27일 1920년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 당시 독립군에게 섬멸당한 일본군의 주력부대였던 함경도 나남19사단 예하 보병 75연대의 사진첩을 <한겨레>에 공개했다. 김씨는 “이 사진첩은 1920년대 보병 75연대에서 복무하던 한 일본군의 제대를 기념해 제작된 것으로, 1990년대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재미동포 언론인 맹우열씨가 그 일본인 후손에게 구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사진첩에 실려 있는 한 독립군의 처형 장면 사진에는 ‘대정 10년(1921) 7월13일 오전 9시’라는 날짜와 ‘하얼빈’이라는 지명 등이 뚜렷하게 적혀 있고, ‘마적’이란 이름으로 일본군에 의해 무차별 살상당한 독립군과 한인 양민들의 떼주검 장면이 전리품처럼 소개돼 있다.
함경북도 회령에 주둔한 보병 75연대는 1920년 6월 봉오동에 이어 10월 청산리에서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와 홍범도 장군의 대한독립군에게 연패한 뒤 명동촌을 비롯한 만주 일대에서 한인 수만명을 수개월에 걸쳐 보복살상한 ‘경신참변’을 주도한 부대다.
사진첩에는 ‘남양타라칸’이란 휘장을 내걸고 동남아시아 원주민 차림을 한 군인들 사진도 실려 있다. 이밖에 일본군의 전투 훈련 장면, 회령 시내에서 일본군들이 민속놀이를 즐기는 모습, 함경도 미인 얼굴 등 당시 일본군의 실상을 보여주는 사료들도 들어 있다.
사진첩을 감수한 독립운동사연구소 이동언 박사는 “지금까지 봉오동·청산리 전투를 비롯한 1920년대 항일투쟁 사료가 대부분 광복 이후 채록한 우리 독립군과 그 후손들의 증언에 바탕한 연구서 위주였다면, 이 사진첩은 적군인 일본군이 당시에 남긴 실증적인 기록이란 점에서 사료 가치가 높다”고 밝혔다.
김경애 기자 ccandori@hani.co.kr
1920년대 초 함경도 나남 일본군 19사단 예하의 회령 주둔 보병 75연대 부대원의 제대기념 사진첩에 들어 있는 독립군 처형 장면. ‘부두목 만순부수’라고 나와 있다. 당시 이 부대는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에서 항일독립군에게 잇따라 대패하자 추격전을 벌이며 만주 일대 한인들을 보복학살했다.
‘러시아군에게 총살당한 마적 대두고산, 대정 10년(1921) 7월13일 오전 9시, 중부 복병 청산근역(靑山近驛) 구자수(邱子秀)’란 표기가 뚜렷한 주검 사진. 당시 일본군은 항일독립군을 인정하지 않고 ‘마적’이라 부르며 자신들의 만행을 위장했다.
1920년대 초 함경도 회령 주둔 보병 75연대 사진첩에 실려 있는 일본군 소좌의 모습. 이름은 나와 있지 않으나 당시 경신학살을 주도한 일본군 지휘관의 실물이 공개되기는 처음이다.
사진첩을 감수한 독립운동사연구소 이동언 박사는 “지금까지 봉오동·청산리 전투를 비롯한 1920년대 항일투쟁 사료가 대부분 광복 이후 채록한 우리 독립군과 그 후손들의 증언에 바탕한 연구서 위주였다면, 이 사진첩은 적군인 일본군이 당시에 남긴 실증적인 기록이란 점에서 사료 가치가 높다”고 밝혔다.
1920년대초 회령 보병 75연대 사진첩에 실려 있는 시.(이곳은 조선 북단 100여리에 있는 두만강/건너면 광막한 러시아와 중국/극한 영하 30여도/음력4월 중순에도 눈은 없어지지 않고/여름은 물이 끓는 100여도/복무하는 나날 동포에 대한 즐거운 꿈조차 꾸지 못하는/경비의 고심, 누가 알까./강을 건너 습격해오는/불령한 무리의 기습공격에/낮에도 총을 들어 응전한다/호랑이는 죽어 가죽을 남기고/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국경 치안, 그것을 위해/국경치안, 그것을 위해) 왼쪽 아래는 ‘성훈 5개조’.(군인은 충절을 다할 것을 본분으로 할 것, 군인은 예의를 올바르게 할 것, 군인은 무용(武勇)을 숭상할 것, 군인의 신의를 중요하게 할 것, 군인은 검약을 명심할 것-원수해군대장 백작 도고 헤이하치로 근서). 오른쪽 아래 사진은 보병 75연대 부대원들이 기모노 차림의 여성들에게 사격 지도를 하고 있는 모습. 왼쪽 위 사진은 75연대의 모부대인 함경도 나남 주둔 19사단의 정문 전경.
회령 시내에서 벌어진 일본의 민속축제 마츠리를 일본군들이 구경하고 있다. 조선인 양민들의 모습도 보인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