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억원에 임차한 외국 준설선 놀려
모래채취 허가 지연으로 각종 국책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1일 광양시 등 전남.부산.경남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항만공사 등 각종 국책사업용 모래 공급이 끊겨 공사가 중단되거나 외화로 빌린 비싼 장비 임대료를 물어야 하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수년전부터 섬진강이나 연근해 골재채취 허가가 사실상 중단돼 일반용이나 비국책 공공사업이 모래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은 사례는 있으나 국책사업용 골재 공급이 끊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그간 건설교통부에서 먼바다 배타적경제수역(EEZ) 모래를 국책사업용으로허가해 공급했으나 최근 건교부가 해양수산부의 협의지연을 이유로 허가를 중단해 2개월째 채취를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광양항배후부지 1단계공사와 광양항 3단계 2차 컨테이너부두 축조공사가 지난 5월 9일과 31일부터 각각 중단되고 부산신항 다목적부두 배후부지와 남컨테이너부두 2단계 2차 조성공사도 두달째 공사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울산항 남방파제 공사의 경우 이달 말까지 해저 준설을 끝낸 뒤 곧바로 바닥 다짐용 모래를 깔아 방파제를 완성해야 하는데 모래를 공급받지 못할 경우 뻘 흙이 다시 메워져 준설공사를 다시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 공사를 맡고 있는 현대와 대우건설 관계자들은 "모래를 제때 공급받지 못할경우 준설공사를 2번해야 하고 모래채취를 위해 벨기에에서 하루 1억원씩을 들여 임차한 준설선을 놀려야 하는 등 막대한 국가적 손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유정석 해양부 환경보전과장은 "그간 채취한 EEZ지역에 대한 사후조사보고 검토가 늦어져 협의서를 보내는 것이 지연됐다"며 "24일 이전 해결하겠다"고말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각종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해양부에서 협의서만 보내오면 곧바로 허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남과 부산.경남지역 45개 레미콘 업체들은 최근 "국책용 모래는 물론 일반 건축물 및 공공 공사에 납품할 레미콘 제조를 위해 일반 모래 공급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건교부에 건의했다.
(광양=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