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상병이 수류탄 충격 50∼60% 흡수"
경기도 연천군 비무장지대(DMZ)내 GP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참극'으로 인한 부상자가 2명 더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총기난사'를 조사했던 육군 6군단 헌병대 수사과장 강성국 소령은 이날 사건현장을 방문한 기자들에게 "10명의 사상자 외에 부상자 2명이 더 있다"며 "그러나 이들은 발목 등에 파편상을 당한 경미한 환자"라고 말했다.
강 소령은 "사건 초기에는 이들이 부상이 경미해 말을 하지 않고 있다가 수사를하는 과정에서 부상사실을 말했다"고 설명했다.
또 김아무개 일병이 던진 수류탄은 박의원(22) 상병이 잠을 자던 자리에서 터져대부분의 폭발 피해를 박 상병이 입은 것으로 밝혀졌다.
강 소령은 "현장을 검증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 박 상병이 폭발 충격의 50∼60%를 흡수했다"고 말했다.
그는 "박 상병이 조 상병의 자리에서 잠을 자다 수류탄이 복부 부위에서 터진것으로 보인다"며 "박 상병이 왜 조 상병의 자리에서 잠을 잤는지는 조사 중"이라고설명했다. 군 수사당국은 박 상병이 몸으로 수류탄을 덥쳤다는 유족들의 주장에 대해 확인차원의 수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박 상병이 숨진 채 발견된 침상은 박 상병의 자리가 아니라 취사장에서나오다 숨진 조정웅(22) 상병의 자리로 밝혀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숨진 이건욱(21) 상병도 수류탄 파편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지만자신의 자리 반대편에서 숨진 채 발견된 것도 새롭게 확인됐다. 이에 대해 수사 관계자들은 "왜 자리를 옮겨 잤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으며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취사실에 있다 피격돼 후송중 사망한 조정웅(22) 상병을 포함해 내무반에서 숨진 6명 가운데 수류탄 파편에 의해 사망한 사람은 박 상병과 이 상병 2명인 것으로전해졌다. 또 일부 병사들은 GP 체력단련실에 설치된 TV를 통해 한국과 브라질의 청소년축구경기를 시청한 사실도 확인됐다. 군은 당시 TV 시청이 근무 형태를 바꿨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 내무반에 수류탄을 던지고 총기를 난사한 후 태연하게 전방 초소로 이동한 김일병은 초소에 나뒀던 자신의 총기 실탄이 장전돼있었음에도 당시 경계를 함께 서고있던 선임병 이모 상병은 평소에 잘 대해줬다는 이유로 살해하지 않았다고 진술한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소초장 김종명(26) 중위가 총을 맞고 쓰러졌던 체력단련실에는 곳곳에 핏자국이이 남아있어 김 중위가 대응조치를 시도하거나 고통에 못이겨 몸부림 쳤던 것으로추정됐다. 김 일병은 자신을 체포된 후 "제가 죽였습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제가 한 짓입니다"라고 자백을 했으며, 후임 소초장 이모 중위 등은 김 일병의 자해를 막으로 입에 재갈을 물렸다. (비무장지대 GP=연합뉴스)
그는 "박 상병이 조 상병의 자리에서 잠을 자다 수류탄이 복부 부위에서 터진것으로 보인다"며 "박 상병이 왜 조 상병의 자리에서 잠을 잤는지는 조사 중"이라고설명했다. 군 수사당국은 박 상병이 몸으로 수류탄을 덥쳤다는 유족들의 주장에 대해 확인차원의 수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박 상병이 숨진 채 발견된 침상은 박 상병의 자리가 아니라 취사장에서나오다 숨진 조정웅(22) 상병의 자리로 밝혀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 숨진 이건욱(21) 상병도 수류탄 파편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지만자신의 자리 반대편에서 숨진 채 발견된 것도 새롭게 확인됐다. 이에 대해 수사 관계자들은 "왜 자리를 옮겨 잤는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으며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취사실에 있다 피격돼 후송중 사망한 조정웅(22) 상병을 포함해 내무반에서 숨진 6명 가운데 수류탄 파편에 의해 사망한 사람은 박 상병과 이 상병 2명인 것으로전해졌다. 또 일부 병사들은 GP 체력단련실에 설치된 TV를 통해 한국과 브라질의 청소년축구경기를 시청한 사실도 확인됐다. 군은 당시 TV 시청이 근무 형태를 바꿨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 내무반에 수류탄을 던지고 총기를 난사한 후 태연하게 전방 초소로 이동한 김일병은 초소에 나뒀던 자신의 총기 실탄이 장전돼있었음에도 당시 경계를 함께 서고있던 선임병 이모 상병은 평소에 잘 대해줬다는 이유로 살해하지 않았다고 진술한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소초장 김종명(26) 중위가 총을 맞고 쓰러졌던 체력단련실에는 곳곳에 핏자국이이 남아있어 김 중위가 대응조치를 시도하거나 고통에 못이겨 몸부림 쳤던 것으로추정됐다. 김 일병은 자신을 체포된 후 "제가 죽였습니다. 제가 그랬습니다. 제가 한 짓입니다"라고 자백을 했으며, 후임 소초장 이모 중위 등은 김 일병의 자해를 막으로 입에 재갈을 물렸다. (비무장지대 GP=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