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학대 11억, 대구보건대 5억, 오산대 8천만원
오산대(학교법인 오산학원), 대구보건대(배영학숙), 경북과학대(경북과학대학)의 대학 관계자들이 국고 보조금과 학교 운영비 등의 상당 부분을 개인의 주머닛돈처럼 써온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부정 의혹을 산 세 대학에 대한 감사에서 이런 사실을 밝혀내고 정아무개 경북과학대 전 이사장 등 재단 관계자 5명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 통보를 했다고 22일 발표했다. 또 이들 학교법인 임원 7명의 임원 취임승인 취소 계고조처를 하고, 관련자 53명을 파면·해임하라고 요구했다. 또 세 대학이 불법·부당하게 집행한 93억여원(오산대 19억여원, 대구보건대 36억여원, 경북과학대 37억여원)을 교비회계로 회수하도록 지시했다. 교육부의 종합감사 결과를 보면, 경북과학대는 2002~2004년 전문대 특성화 국고지원금과 외부기관 연구용역비에서 조성한 간접연구비 4억2천여만원을 정 전 이사장이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 전 이사장은 또 기숙사 운영비를 별도 관리하거나 실험·실습 기자재를 구입한 뒤 사례비(리베이트)를 받는 방식으로 모두 7억여원을 챙겨 개인 용도로 썼다. 정 전 이사장의 부인인 이아무개 전 명예학장은 외국 백화점 등에서 의류를 비롯한 물품을 구입한 뒤 103차례에 걸쳐 대학 신용카드로 5천여만원을 결제했다. 김아무개 대구보건대 이사장은 전문대 특성화 국고보조금 1억7천여만원 가운데 교수들이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조성한 6천여만원과, 소모품을 구입하면서 단가를 높게 책정한 뒤 받은 차액 3억5천여만원으로 개인 소장용 조각품 및 미술품을 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오산대는 전 사무국장이 교비 4300여만원을 자신이 만든 통장에 넣고 개인적으로 쓴 뒤 문제가 불거지자 학교에 반환한 사례가 적발됐다. 김왕복 교육부 감사관은 “전문대 일부가 특성화 자금 등 국고보조금을 횡령한 것과 관련해, 국고보조금 지원 사업에 대해 전반적인 실태조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강성만 기자 sungman@hani.co.kr
오산대(학교법인 오산학원), 대구보건대(배영학숙), 경북과학대(경북과학대학)의 대학 관계자들이 국고 보조금과 학교 운영비 등의 상당 부분을 개인의 주머닛돈처럼 써온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부정 의혹을 산 세 대학에 대한 감사에서 이런 사실을 밝혀내고 정아무개 경북과학대 전 이사장 등 재단 관계자 5명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수사 통보를 했다고 22일 발표했다. 또 이들 학교법인 임원 7명의 임원 취임승인 취소 계고조처를 하고, 관련자 53명을 파면·해임하라고 요구했다. 또 세 대학이 불법·부당하게 집행한 93억여원(오산대 19억여원, 대구보건대 36억여원, 경북과학대 37억여원)을 교비회계로 회수하도록 지시했다. 교육부의 종합감사 결과를 보면, 경북과학대는 2002~2004년 전문대 특성화 국고지원금과 외부기관 연구용역비에서 조성한 간접연구비 4억2천여만원을 정 전 이사장이 개인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 전 이사장은 또 기숙사 운영비를 별도 관리하거나 실험·실습 기자재를 구입한 뒤 사례비(리베이트)를 받는 방식으로 모두 7억여원을 챙겨 개인 용도로 썼다. 정 전 이사장의 부인인 이아무개 전 명예학장은 외국 백화점 등에서 의류를 비롯한 물품을 구입한 뒤 103차례에 걸쳐 대학 신용카드로 5천여만원을 결제했다. 김아무개 대구보건대 이사장은 전문대 특성화 국고보조금 1억7천여만원 가운데 교수들이 학교발전기금 명목으로 조성한 6천여만원과, 소모품을 구입하면서 단가를 높게 책정한 뒤 받은 차액 3억5천여만원으로 개인 소장용 조각품 및 미술품을 구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오산대는 전 사무국장이 교비 4300여만원을 자신이 만든 통장에 넣고 개인적으로 쓴 뒤 문제가 불거지자 학교에 반환한 사례가 적발됐다. 김왕복 교육부 감사관은 “전문대 일부가 특성화 자금 등 국고보조금을 횡령한 것과 관련해, 국고보조금 지원 사업에 대해 전반적인 실태조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강성만 기자 sungm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