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실한 물증 잡았을 것” 해석에
검찰 “통상절차” 파문확산 경계
대포폰 궁지 몰리자 ‘반전 카드’ 분석도
검찰 “통상절차” 파문확산 경계
대포폰 궁지 몰리자 ‘반전 카드’ 분석도
전국청원경찰친목협의회(청목회)의 입법 로비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이 5일 현역 의원 11명의 후원회 사무실 등을 일제히 압수수색하자, 그 배경과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압수수색에 대해 검찰은 “통상적인 절차일 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검찰 고위 관계자는 “청목회의 후원금이 들어갔으니, 들어간 계좌는 확인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후원 한도를 넘은 건지, 후원금을 어떻게 했는지 등을 의원들 쪽 해명만 듣고 넘어갈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압수수색이 11~12일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코앞에 둔 시점에 진행된 것을 두고도 이 관계자는 “구속된 청목회 최아무개 회장의 구속 만기가 15일이어서, 지금이 아니면 진짜 G20 즈음에 압수수색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불가피함을 설명했다.
검찰 안팎에선 압수수색의 배경을 놓고 확실한 ‘물증’을 잡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한 전직 검찰 간부는 “무더기 압수수색이 불러올 파장에도 불구하고 검찰이 ‘강공’을 택한 것은 혐의를 입증할 만한 자신이 있었기 때문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정치권의 반발이 워낙 거센 상황이어서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놓지 못하면 자칫 ‘날카로운’ 부메랑이 될 수도 있는 만큼, 검찰이 사전에 충분한 준비와 검토를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검찰이 놓인 ‘정치적 상황’이 공격적인 수사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과 관련해 ‘청와대 대포폰’ 문제가 쟁점이 되면서 검찰 수사가 도마에 오르자 국면 전환 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서둘렀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검찰은 속전속결식 수사에 나서면서도 한편으론 정치권의 반발을 의식한 듯 파문을 최소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조은석 서울북부지검 차장 검사는 압수수색 뒤 브리핑을 통해 “언론과 정치권이 통상적인 수사 과정에 지나친 의미 부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차장 검사는 “청목회 회장의 진술 등에 따라 후원금이 전달된 장소인 후원회 사무실을 압수수색했으며, 회계 책임자나 후원회 관련 업무를 하는 이들에 대한 증거 수집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압수수색 대상이 된 의원들이 모두 수사 대상이라거나 소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압수수색은 위법성을 따지는 수사 과정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