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책대학원, ‘동북아안전보장’ 연구
‘사사카와평화재단’ 2억 대줘…논란일듯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이 일본재단의 출연금으로 세운 ‘사사카와평화재단’으로부터 연구기금을 받아 동북아시아 안전보장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26일 밝혀졌다. 1986년 설립된 사사카와평화재단은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에 참여하는 극우 인사 등이 전·현직 이사 등으로 있는 일본재단의 출연금으로 만들어졌고, 에이(A)급 전범 용의자로 기소돼 3년 동안 수감됐던 사사카와 료이치의 이름을 딴 재단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책 연구기관 산하의 대학원이 이런 곳에서 연구기금을 지원받아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국제정책대학원은 4월 사사카와평화재단으로부터 18만달러(약 2억원)를 연구기금으로 받아 현재 ‘한중일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3년 계획으로 진행되는 이 연구는 국제정책대학원에서 연구기금 운영을 맡고, 국제정책대학원 초빙 교수 1명과 외부 대학 교수 2명, 중국 베이징대학과 일본 대학의 교수 3명씩 등 모두 9명의 안전보장문제 전문가가 ‘핵심 그룹’으로 참여하고 있다. 연구 계획을 보면, 올 6월까지 한·중·일 3국에서 정치·군사, 외교, 경제, 역사, 사회분야 전문가 30명씩 모두 90명을 뽑은 뒤 이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의식조사’를 벌인다. 조사는 다음달부터 9월까지 △정치·군사(비전통적 안전보장 문제 협력) △경제협력(3개국 자유무역협정 가능성, 인적 이동의 안전보장) △역사·사회(각국의 역사인식) 분야로 나눠 이뤄질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한국과 일본, 중국 가운데 한 곳에서 개최국 전문가 그룹과 정치인, 공공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하는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국제정책대학원 관계자는 “사사카와평화재단 쪽에서 먼저 기금 지원을 제안했고, 재단의 성격과 상관없이 순수한 학술지원이라고 판단해 기금을 받기로 했다”며 “대학원에서는 사무국 역할만 맡을 뿐 연구는 외부 연구자들이 독립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향철 광운대 일본학과 교수는 “장기적으로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질서 재편을 목표로 학술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 일본 극우세력의 자금으로 동북아시아 안전보장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은 반역사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사카와평화재단 쪽은 “현재 일본재단은 사사카와 집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며 “사사카와평화재단은 국제협력 사업 지원의 하나로 국제정책대학원에 연구기금을 지원한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재단은 1962년 사사카와 료이치가 경정사업으로 벌어들인 수입의 일부를 공익사업에 쓰기 위해 설립한 ‘일본선박진흥회’의 후신이다. 95년 사사카와 료이치 사망 뒤 일본재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소노 아야코가 회장을 맡아왔으나, 다음달 1일 사사카와 료이치의 셋째아들인 사사카와 료헤이가 새 회장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일본재단으로부터 연세대가 75억원을 받아 아시아연구기금을 설립해 10년 동안 운영해 온 데 대해, 이 대학 교수협의회가 지난달 말 기금 해체를 요구해 파문이 인 바 있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사사카와평화재단’ 2억 대줘…논란일듯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이 일본재단의 출연금으로 세운 ‘사사카와평화재단’으로부터 연구기금을 받아 동북아시아 안전보장에 관한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26일 밝혀졌다. 1986년 설립된 사사카와평화재단은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에 참여하는 극우 인사 등이 전·현직 이사 등으로 있는 일본재단의 출연금으로 만들어졌고, 에이(A)급 전범 용의자로 기소돼 3년 동안 수감됐던 사사카와 료이치의 이름을 딴 재단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국책 연구기관 산하의 대학원이 이런 곳에서 연구기금을 지원받아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국제정책대학원은 4월 사사카와평화재단으로부터 18만달러(약 2억원)를 연구기금으로 받아 현재 ‘한중일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3년 계획으로 진행되는 이 연구는 국제정책대학원에서 연구기금 운영을 맡고, 국제정책대학원 초빙 교수 1명과 외부 대학 교수 2명, 중국 베이징대학과 일본 대학의 교수 3명씩 등 모두 9명의 안전보장문제 전문가가 ‘핵심 그룹’으로 참여하고 있다. 연구 계획을 보면, 올 6월까지 한·중·일 3국에서 정치·군사, 외교, 경제, 역사, 사회분야 전문가 30명씩 모두 90명을 뽑은 뒤 이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의식조사’를 벌인다. 조사는 다음달부터 9월까지 △정치·군사(비전통적 안전보장 문제 협력) △경제협력(3개국 자유무역협정 가능성, 인적 이동의 안전보장) △역사·사회(각국의 역사인식) 분야로 나눠 이뤄질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한국과 일본, 중국 가운데 한 곳에서 개최국 전문가 그룹과 정치인, 공공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하는 심포지엄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국제정책대학원 관계자는 “사사카와평화재단 쪽에서 먼저 기금 지원을 제안했고, 재단의 성격과 상관없이 순수한 학술지원이라고 판단해 기금을 받기로 했다”며 “대학원에서는 사무국 역할만 맡을 뿐 연구는 외부 연구자들이 독립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향철 광운대 일본학과 교수는 “장기적으로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질서 재편을 목표로 학술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 일본 극우세력의 자금으로 동북아시아 안전보장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은 반역사적”이라고 지적했다. 사사카와평화재단 쪽은 “현재 일본재단은 사사카와 집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며 “사사카와평화재단은 국제협력 사업 지원의 하나로 국제정책대학원에 연구기금을 지원한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재단은 1962년 사사카와 료이치가 경정사업으로 벌어들인 수입의 일부를 공익사업에 쓰기 위해 설립한 ‘일본선박진흥회’의 후신이다. 95년 사사카와 료이치 사망 뒤 일본재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소노 아야코가 회장을 맡아왔으나, 다음달 1일 사사카와 료이치의 셋째아들인 사사카와 료헤이가 새 회장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일본재단으로부터 연세대가 75억원을 받아 아시아연구기금을 설립해 10년 동안 운영해 온 데 대해, 이 대학 교수협의회가 지난달 말 기금 해체를 요구해 파문이 인 바 있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