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학교들 식재료 공동구매·직거래 나서
지자체선 ‘공공근로 급식도우미’로 힘 보태
지자체선 ‘공공근로 급식도우미’로 힘 보태
3월부터 전국 곳곳에서 학교 무상급식이 본격화한 가운데, 최근 물가 급등에도 급식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교육청이나 자치단체들이 공동구매나 계약재배로 식재료를 값싸게 확보하거나 공공근로 인력을 학교 현장에 보내는 등 갖가지 묘안을 짜내고 있다.
식재료 구입 단가를 낮추는 방안으로 공동구매가 확산되고 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초·중학생들에게 전면 무상급식을 하는 충북에서는 초·중학교 280곳이 2~3곳씩 102곳의 공동구매 그룹을 형성했다. 그룹들은 농산물·밀가루 등 식재료를 싼값에 함께 구매해 나눠 쓸 계획이다. 장영희 충북도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은 “공동구매를 시행하면 3~5%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제주도교육청은 지난해 학교 3~4곳이 공동구매하는 방식으로 단가를 낮춘 경험을 살려 올해는 공동구매를 더욱 확대하고, 작은 학교와 큰 학교를 묶어 공동구매하는 방안도 도입했다. 광주에서도 학교 300곳 가운데 6학급 이하 작은 학교 11곳이 2~3곳씩 묶어 식자재를 공동구매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지난해 강동구 초등학교 9곳이 식자재 공동구매를 한 결과 학교당 2000만원가량 급식 예산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강동구·송파구를 관할하는 강동교육지원청이 올해는 초·중학교 63곳의 식재료 공동구매 방안을 추진하고 나섰다. 이럴 경우 연간 6억2000만원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충남 당진군은 2일 전국 자치단체로는 처음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에 들어갔다. 지역에서 생산한 친환경·우수 농축산물 등 140여 급식 품목을 관내 유치원·초·중·고 79곳에 공급한다. 식자재 유통단계를 ‘계약재배 농가→학교급식지원센터→학교’로 크게 줄였다. 품질을 높이고 비용은 줄이는 ‘로컬푸드 전략’이다. 재배계약을 맺은 150여 농가에 안정적 소득을 보장하고, 학생·학부모에게는 급식비 추가 부담 없이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자는 취지다.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을 맡은 당진군농협연합사업단 이부원 단장은 “군 단위로 물량을 한꺼번에 확보함으로써 시세보다 10% 이상 싼 값으로 식자재를 학교에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주·청원·증평·진천·괴산군 등 충북지역 5개 시·군도 이달 안에 학교급식지원센터를 공동 운영해 지역 생산자단체들과 농산물 직거래에 나설 참이다.
급식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려고 일손을 보내주는 자치단체도 있다. 서울 관악구는 ‘지역공동체 일자리사업’ 인력 22명을 관내 초등학교 22곳에 1명씩 ‘급식 도우미’로 배치했다. 다음달부터는 공공근로 인력 243명을 급식 도우미로 보내기로 했다. 김영숙 관악구 교육정책팀장은 “공공근로에 고용한 인력을 재배치하기만 해도 학교들이 인건비 압박을 꽤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빈파 친환경급식전국네트워크 대표는 “물가 변동이 심한 시장의 영향을 최소화할 생산·공급 시스템을 갖추는 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미 기자, 전국종합 kmlee@hani.co.kr
이경미 기자, 전국종합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