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남권 신공항 건설 백지화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지자 부산시와 대구시는 강력히 반발했다. 해당 지역단체들은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표로 심판하겠다는 격한 반응을 나타냈다.
부산시는 27일 정부가 동남권 신공항을 백지화하면 김해공항의 가덕도 이전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안전과 소음문제를 안고 있는 김해공항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넘어가면 좌시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김효영 부산시 교통국장은 “9년 전 김해 돗대산에 중국 민항기가 추락해 129명이 숨졌는데도 이제까지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미적대던 정부가 부산과 대구의 갈등을 이유로 또다시 김해공항 문제를 외면하면 모든 부산시민이 정부를 가만두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5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이 꾸린 ‘가덕도 신공항 유치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의 서세욱 집행위원장은 “정부가 지역균형발전과 향후 벌어질 동남권 항공수요를 예측한다면 전략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판단을 해야 하는데 경제성을 이유로 백지화 결정을 내렸다면 분노가 치민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부산과 대구의 갈등에 부담을 느껴 백지화를 하면서 경제성을 그 이유로 둘러대고 있다”며 “정치논리를 앞세운 비열한 작태에 대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표로 심판하겠다”고 경고했다.
대구시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방침이 확정되면 불어닥칠 후폭풍을 염려했다. 김범일 대구시장과 지역 출신 국회의원들에 대한 책임론이 대두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대구시 관계자는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가 확정되면 후유증이 일파만파로 확산할 것”이라며 “당장 내년 4월 총선에서 지역 국회의원들이 각오를 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영남권 신공항 밀양 유치 범시도민 결사추진위원회’의 이수산 기획홍보위원장은 “만약 백지화가 사실이라면 이명박 정부는 지방과 소통을 스스로 거부하고 지방살리기 정책에 역주행하는 정권임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부산을 비롯한 영남권 5개 시·도가 백지화 철회를 위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부산 대구/김광수 이수윤 구대선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