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대 지검장 “일찍 마무리” 보고하자
김준규 총장 “미진한 대목 마저 수사하라”
김준규 총장 “미진한 대목 마저 수사하라”
한상률(58) 전 국세청장 관련 의혹 수사를 서둘러 종결하려던 서울중앙지검 지휘부의 움직임에 검찰 수뇌부가 제동을 걸었다. 한상대 서울중앙지검장은 5일 김준규 검찰총장에게 주례보고를 하는 자리에서 “수사를 일찍 마무리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김 총장은 “시간을 두고 미진한 대목을 마저 수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최윤수)는 지난 2월28일, 미국으로 출국한 지 약 2년 만에 귀국한 한 전 청장을 처음 소환 조사하면서 수사를 개시했다. 그러나 그와 관련된 수사를 축소·조기 종결하려는 움직임은 여러 곳에서 나타났다. 검찰은 수사 초기에 뇌물 수사의 기본인 피의자(한 전 청장)의 계좌추적조차 하지 않았다. 검찰은 이런 이례적 조처를 두고 안팎에서 비난 여론이 일자 뒤늦게 한 전 청장의 계좌추적에 나섰다.
검찰은 한때 한 전 청장이 미국에 머물며 에스케이(SK)·현대차 등 대기업과 주정업체 7곳에서 7억원의 ‘자문료’를 받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그림로비’의 핵심 물증인 <학동마을>이 마지막으로 전시됐던 서울 소격동의 국제갤러리도 압수수색해, 이 그림의 출처를 밝혀보려는 의지를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수사 기간이 길어지자 의혹이 말끔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인데도 수사를 서둘러 마무리하려는 움직임이 다시 나타났다. 한 지검장은 휴일인 지난 3일 서울중앙지검 기자실을 찾아 “다 된 거, 들여다봤자 뻔한 거 계속 들고 있는 건 내가 정리해 줘야 한다. 오늘도 나와서 뭐 하나 시원하게 정리했다”고 말했다. 주요 수사대상인 <학동마을>의 출처가 확인되지도 않았고, 한 전 청장 관련 계좌추적이 끝나지 않았는데도 수사를 마무리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것이었다. 한 전 청장 등의 연루 가능성이 제기된 주류수입업체의 수입면허 재취득 로비 의혹에 대해서도 서울중앙지검 수뇌부는 “단서도 없는데 왜 수사를 하려고 하느냐”며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고 한다.
그러나 이날 한 지검장의 보고를 받은 김 총장은 주류수입업체 의혹 사건도 “(수사팀에) 수사를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계속 수사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