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에서 열린 ‘케이티(KT)의 반인권적 인력퇴출프로그램 폭로 및 관리자 양심선언 기자회견’에서 반아무개씨(오른쪽)가 케이티의 위법 행위를 설명하는 동안 곁에 앉은 피해자들이 그동안의 경험을 떠올리며 울먹이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114 안내직에 “전신주 올라가라”→“실적 나쁘니 나가라”
전 충북본부 담당자, 실태 폭로
전 충북본부 담당자, 실태 폭로
전사적 목표 인원 명시
현장노동자 조직 등 지목
KT “본사와 무관” 부인 케이티(KT)가 인력 구조조정을 목적으로 조직적인 ‘퇴출 프로그램’을 운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등 4개 단체는 18일 기자회견을 열어 ‘시피’(CP·C-player)라고 불리는 케이티 ‘부진인력 퇴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폭로했다. 특히 케이티 충북본부의 CP담당자였던 반아무개씨(2009년 12월31일 명예퇴직)는 이날 2007년 충주지사 경영혁신팀장으로부터 전달받아 퇴출 대상자 관리에 활용해온 ‘부진인력 퇴출 및 관리 방안’을 공개했다. 이 문서엔 그해 충북본부의 퇴출 목표 인원이 16명이며, 케이티 전사적 목표 인원은 550명이라고 명시돼 있다. 퇴출 관리 대상자는 ‘114 잔류자’(2001년 114 안내사업 분사 때 남은 사람들)와 ‘민동회’(케이티 현장 노동자 조직인 민주동지회 회원), 간부직(명예퇴직을 거부한 비보직 관리자) 등으로 분류했다. 특히 민동회 회원들이 주요 관리대상으로 지목된 점은 사내 비판세력을 퇴출시키는 데 CP가 악용됐다는 의혹을 낳게 한다. 관리대상자들을 익숙지 않은 업무로 발령낸 뒤 ‘업무촉구→서면주의·경고→감사 후 징계’를 되풀이하며 자진해서 그만둘 때까지 압박하는 방법이 동원됐다. 반씨는 “114 안내 업무를 했던 여성들에게 혼자 전신주에 올라가 전화를 개통하게 하는 등 일부러 생소한 업무를 부여해 실적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퇴사를 유도했다”며 “퇴출자로 낙인찍힌 사람의 사생활을 조사하고 각종 교육에도 참석하지 못하게 하는 등 소외감을 주도록 명문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시피를 통한 퇴출작업이 2002년 민영화를 앞두고 1998년 말부터 계속돼온 케이티의 대규모 인력구조조정의 연장선에 있다고 설명했다. 조태욱 케이티노동인권센터 집행위원장은 “민영화 전후로 투자자와 국외 투기자본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케이티가 끊임없는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충주지사 문건에 케이티 전사의 퇴출 목표 인원이 못박혀 있는 것만 봐도 본사 차원에서 추진된 것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케이티 관계자는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인력의 업무 재배치 차원에서 일부 지사에서 CP를 만든 적은 있다”면서도 “실제 시행된 적은 없고 본사와도 무관하다”고 부인했다.
CP의 피해자로 기자회견에 참석한 육아무개씨는 “114 업무 분사 후 잔류하자 전신주를 타고 전화를 개통하는 업무에 배치된 뒤 2001년 충주, 2003년 제천, 2004년 괴산, 2006년 영동, 2010년 보은에 이어 다시 영동으로 전보조처 됐다”며 “회사는 제발 퇴출 압박을 멈춰 달라”고 호소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현장노동자 조직 등 지목
KT “본사와 무관” 부인 케이티(KT)가 인력 구조조정을 목적으로 조직적인 ‘퇴출 프로그램’을 운영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등 4개 단체는 18일 기자회견을 열어 ‘시피’(CP·C-player)라고 불리는 케이티 ‘부진인력 퇴출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폭로했다. 특히 케이티 충북본부의 CP담당자였던 반아무개씨(2009년 12월31일 명예퇴직)는 이날 2007년 충주지사 경영혁신팀장으로부터 전달받아 퇴출 대상자 관리에 활용해온 ‘부진인력 퇴출 및 관리 방안’을 공개했다. 이 문서엔 그해 충북본부의 퇴출 목표 인원이 16명이며, 케이티 전사적 목표 인원은 550명이라고 명시돼 있다. 퇴출 관리 대상자는 ‘114 잔류자’(2001년 114 안내사업 분사 때 남은 사람들)와 ‘민동회’(케이티 현장 노동자 조직인 민주동지회 회원), 간부직(명예퇴직을 거부한 비보직 관리자) 등으로 분류했다. 특히 민동회 회원들이 주요 관리대상으로 지목된 점은 사내 비판세력을 퇴출시키는 데 CP가 악용됐다는 의혹을 낳게 한다. 관리대상자들을 익숙지 않은 업무로 발령낸 뒤 ‘업무촉구→서면주의·경고→감사 후 징계’를 되풀이하며 자진해서 그만둘 때까지 압박하는 방법이 동원됐다. 반씨는 “114 안내 업무를 했던 여성들에게 혼자 전신주에 올라가 전화를 개통하게 하는 등 일부러 생소한 업무를 부여해 실적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퇴사를 유도했다”며 “퇴출자로 낙인찍힌 사람의 사생활을 조사하고 각종 교육에도 참석하지 못하게 하는 등 소외감을 주도록 명문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시피를 통한 퇴출작업이 2002년 민영화를 앞두고 1998년 말부터 계속돼온 케이티의 대규모 인력구조조정의 연장선에 있다고 설명했다. 조태욱 케이티노동인권센터 집행위원장은 “민영화 전후로 투자자와 국외 투기자본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케이티가 끊임없는 인력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충주지사 문건에 케이티 전사의 퇴출 목표 인원이 못박혀 있는 것만 봐도 본사 차원에서 추진된 것임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케이티 관계자는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인력의 업무 재배치 차원에서 일부 지사에서 CP를 만든 적은 있다”면서도 “실제 시행된 적은 없고 본사와도 무관하다”고 부인했다.
CP의 피해자로 기자회견에 참석한 육아무개씨는 “114 업무 분사 후 잔류하자 전신주를 타고 전화를 개통하는 업무에 배치된 뒤 2001년 충주, 2003년 제천, 2004년 괴산, 2006년 영동, 2010년 보은에 이어 다시 영동으로 전보조처 됐다”며 “회사는 제발 퇴출 압박을 멈춰 달라”고 호소했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