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이르면 올해부터 시행
미국을 방문하는 우리 국민은 이르면 올해 안에 무인심사대를 거쳐 간편하게 입국 절차를 밟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석동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과 앨런 버신 미국 국토안보부 국경관리청장은 21일 미국 워싱턴에서 만나, 양국 국민의 무인 자동출입심사대 상호 이용에 합의하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에 서명했다. 두 나라는 곧 무인 입국심사 신청을 받는 웹사이트를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무인 입국심사는, 우리 국민이 출국 전 국내에서 인터넷으로 신청해 지문 등록과 사전 승인을 거친 뒤 미국 공항에 내려서는 미국 이민국 직원의 대면심사 대신 무인심사대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무인자동 출입국심사대는 우리나라에서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에, 미국에는 덜레스·뉴욕·로스앤젤레스 공항 등 20곳에 설치돼 있다.
9·11 테러 뒤 미국 방문객들은 까다로운 입국심사 탓에 줄을 서서 장시간 기다리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공항 혼잡도도 높아졌다. 미국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무인 출입국심사대가 설치된 국가와 협상을 추진해왔고, 네덜란드·독일에 이어 우리나라가 세번째로 합의에 이르렀다. 네덜란드는 2009년 4월 미국과 처음으로 무인 입국심사에 합의해 현재 시행중이다. 미국에 입국하는 네덜란드 국민은 5년간 무인심사대 사용료로 100달러를 내고 있다. 독일은 최근 합의문에 서명하고 실무협상을 진행중이다.
법무부 관계자는 “한·미 양국은 가능하면 연내에 무인 자동출입국심사대를 상호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며 “사용료 지불 문제 등은 실무협의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