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엔 지방서도 줄서야
매장 중심의 장묘관행이 화장 중심으로 바뀌고 있지만, 화장장과 납골당 등 관련 시설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감사원이 6일 밝혔다.
감사원이 보건복지부와 14개 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공 장묘시설 설치·관리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1997년 전체 사망자의 23.7%에 머물렀던 화장 비율은 2003년 전체 사망자의 46%인 11만여명으로 늘었다.
그러나 관련시설 수급에 대한 중·장기 대책은 전혀 마련돼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서울과 경기는 이미 화장장 부족 사태를 겪고 있으며, 2015년 이후에는 부산·대구·충남에서도 화장장 부족 문제가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감사원은 “이들 5개 시도의 2015년도 화장로 소요량은 129개로 예상되나, 현재 설치된 화장로는 75개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밖에 납골묘에 대한 정의나 설치기준이 불명확해 호화·대형 납골묘가 급증하면서, 환경파괴와 산사태 등 재해 위험이 커진 것으로 지적됐다.
한편, 감사원은 서울시가 추진 중인 망우묘지공원 재정비 계획과 관련해 이를 자연공원으로 조성하되, 납골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적 납골시설도 설치할 수 있도록 공원조성계획을 변경하라고 권고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 망우묘지공원 재정비계획을 세우면서 주민 반대를 이유로 납골시설 설치계획을 반영하지 않았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