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광화문에서 열린 ‘총파업 전국 노동자대회’에 참석한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이 고 김태환 한국노총 충주지부장 사진 앞에서 노동부 장관 퇴진과 비정규직 보호 입법 등을 촉구하고 있다. 황석주 기자 stonepole@hani.co.kr
민주노총에 이어 한국노총도 7일 노사정위원회 탈퇴를 선언했다. 또 이날부터 총파업 등 노동계의 장외 시위·집회가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정치적 공세로 규정하고 불법파업은 엄단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노총은 이날 오후 1시 서울 광화문에서 1만7천명의 조합원이 모인 가운데 ‘총파업 전국 노동자대회’를 열어 “오만과 독선에 빠져 노정관계를 파탄낸 김대환 노동부 장관의 퇴진 및 비정규직 보호 입법” 등을 요구했다. 이 자리에서 이용득 위원장은 “오늘부로 노사정위에서 탈퇴하고 사회적 대화를 중단한다”며 “정부의 태도에 변화가 없으면 노동위원회 등 70개 각종 위원회에서 탈퇴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날부터 전국의 한국노총 소속 산별노조 및 단위노조가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민주노총 산하 보건의료노조도 이날 저녁 전국에서 올라온 5천여명의 조합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총파업 전야제를 열고, 전국 3만여명의 병원 노동자들이 8일부터 일제히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보건의료노조와 덤프연대 등 소속 노조와 조합원들은 이날 오후 광화문 열린시민공원에 모여 ‘노동자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두 노총은 또 20일 공동으로 ‘전국 노동자대회’를 열어 대정부 총력투쟁을 선언하는 등 투쟁의 강도를 높여나가겠다고 밝혔다.
8일 파업에 들어가는 보건의료노조는 “환자의 불편을 고려해 8일 전면파업 뒤 9일부터는 문제 병원을 타격하는 파상 파업 방식을 쓰고, 파업 중에도 응급실·수술실·분만실 등 특수부서엔 필수 인력을 배치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불법파업은 법대로 처리하겠다”며 엄단 방침을 밝혔고, 김대환 노동부 장관도 6일 “(장관 퇴진 요구 등은) 정치공세”라며 ‘국민의 장관’이 노조의 요구로 퇴진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이날 밤 늦게 병원노조 파업이 불법이라며 직권중재 결정을 내렸다.
한편, 이목희 열린우리당 제5정조위원장은 같은 날, 한 방송에 나와 ‘노동운동이 민주화운동에 기여한 것이 뭐가 있느냐’, ‘민주노총이 노사정위에 조건을 내걸고 들어오면 용납하지 않겠다’는 등 김 장관의 발언을 하나씩 거론하며 “(김 장관이) 너무 직설적이거나 불필요한 말을 많이 했다”고 비판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