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리의혹 대부분 부인… 업체대표 위원 위촉·파행운영 사실로
성인오락기에 대한 자의적 심의 및 업체와의 유착의혹(〈한겨레〉 7월5일치 1면. 7월6일치 11면 참조)과 관련해, 영상물등급위원회 아케이드게임 소위 위원 6명이 8일 “허위·왜곡 보도에 항의한다”며 위원직을 사퇴했다. 영등위 아케이드게임 소위 위원 9명 가운데 공아무개, 주아무개 위원 등 6명은 이날 영등위 홈페이지를 통해 “한겨레신문이 게재한 영상물등급위 관련 기사는 추측ㆍ과장ㆍ허위ㆍ왜곡된 사실이 많아 영등위, 특히 해당 소위원회의 명예를 훼손했고 이에 항의하기 위해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자의적 심의도, 심의위원의 업체 유착 사실도 없으며 일부 위원의 학력 기재 오류가 있었지만 등급분류에 전혀 영향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아무개 위원 등은 “일부 위원들의 부적절한 자격과 허위 이력이 드러난데다, 심의 과정에 대해서도 의혹이 불거진 만큼 철저한 조사와 후속 조처가 우선돼야 한다”며 사퇴 성명에 불참했다. 실제로 이날 사퇴한 공 위원이 대표인 한국사이버감시단 이사진으로 부산에서 대형 성인오락실을 하는 김아무개씨가 참여했던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사이버감시단은 최근 대표인 공 위원에 대한 보도가 시작되자, 홈페이지에 올라 있던 이사진 명단에서 김씨를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 위원도 위원 위촉 몇 개월 전인 지난해 초까지 성인오락기 제조업체 이사로 실질적 활동을 했다는 ㅊ씨 등 업계 관계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위는 위원들의 결석과 지각, 이석 등으로, 위원들이 심의 전 과정에 참여하지 않고 결과에 서명만 하는 등 파행적 운영이 잦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소위 관계자는 “주 위원 등 일부 위원들을 제외한 상당수 위원들은 출석률이 50% 안팎에 머물렀고, 그나마도 위원들이 지각을 하거나 일찍 자리를 뜨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노동당과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 참여연대, 경실련, 흥사단 등 303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도박산업 규제 및 개선을 위한 네트워크’ 등은 잇따라 성명과 논평을 내어 ‘영등위는 의혹을 밝히고 구조를 개혁하라’고 요구했다.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는 “영등위 구성의 근본적인 문제는 영등위 스스로 민간기구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위원 인선 제도”라며 “문제 해결 방법은 영등위 운영 구조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뿐”이라고 밝혔다. 양상우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바로잡습니다
8일치 28면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자 선정 기사에서 이 상이 주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1995년이 아니라 1955년입니다.
성인오락기에 대한 자의적 심의 및 업체와의 유착의혹(〈한겨레〉 7월5일치 1면. 7월6일치 11면 참조)과 관련해, 영상물등급위원회 아케이드게임 소위 위원 6명이 8일 “허위·왜곡 보도에 항의한다”며 위원직을 사퇴했다. 영등위 아케이드게임 소위 위원 9명 가운데 공아무개, 주아무개 위원 등 6명은 이날 영등위 홈페이지를 통해 “한겨레신문이 게재한 영상물등급위 관련 기사는 추측ㆍ과장ㆍ허위ㆍ왜곡된 사실이 많아 영등위, 특히 해당 소위원회의 명예를 훼손했고 이에 항의하기 위해 사퇴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자의적 심의도, 심의위원의 업체 유착 사실도 없으며 일부 위원의 학력 기재 오류가 있었지만 등급분류에 전혀 영향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아무개 위원 등은 “일부 위원들의 부적절한 자격과 허위 이력이 드러난데다, 심의 과정에 대해서도 의혹이 불거진 만큼 철저한 조사와 후속 조처가 우선돼야 한다”며 사퇴 성명에 불참했다. 실제로 이날 사퇴한 공 위원이 대표인 한국사이버감시단 이사진으로 부산에서 대형 성인오락실을 하는 김아무개씨가 참여했던 사실이 추가로 밝혀졌다. 사이버감시단은 최근 대표인 공 위원에 대한 보도가 시작되자, 홈페이지에 올라 있던 이사진 명단에서 김씨를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 위원도 위원 위촉 몇 개월 전인 지난해 초까지 성인오락기 제조업체 이사로 실질적 활동을 했다는 ㅊ씨 등 업계 관계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위는 위원들의 결석과 지각, 이석 등으로, 위원들이 심의 전 과정에 참여하지 않고 결과에 서명만 하는 등 파행적 운영이 잦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한 소위 관계자는 “주 위원 등 일부 위원들을 제외한 상당수 위원들은 출석률이 50% 안팎에 머물렀고, 그나마도 위원들이 지각을 하거나 일찍 자리를 뜨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한편, 민주노동당과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 참여연대, 경실련, 흥사단 등 303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도박산업 규제 및 개선을 위한 네트워크’ 등은 잇따라 성명과 논평을 내어 ‘영등위는 의혹을 밝히고 구조를 개혁하라’고 요구했다.
문화개혁을 위한 시민연대는 “영등위 구성의 근본적인 문제는 영등위 스스로 민간기구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위원 인선 제도”라며 “문제 해결 방법은 영등위 운영 구조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뿐”이라고 밝혔다. 양상우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바로잡습니다
8일치 28면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자 선정 기사에서 이 상이 주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1995년이 아니라 1955년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