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권중재 철회않으면 해체투쟁”
보건의료노조 쟁의행위에 대한 중앙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 회부 결정이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부르고 있다. 민주노총은 중노위가 직권중재회부를 13일까지 철회하지 않을 경우,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 위원 모두 중노위 위원직을 사퇴하고 중노위 해체 투쟁에 나서겠다고 10일 밝혔다. 민주노총과 보건의료노조 지도부는 8·9일 이틀 동안 중노위 위원장실에서 보건의료노조 쟁의행위에 대해 지난해와는 달리 직권중재 회부를 결정한 데 반발하며, 직권중재 철회를 요구하는 농성을 벌였었다. 이석행 민주노총 사무총장은 “‘직권중재는 구악이며 폐지돼야 한다’는 신홍 중노위 위원장의 평소 소신이 왜 무너졌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이는 청와대나 노동부의 외압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신 위원장은 8일 “조정기간을 연장해 자율교섭을 통한 합의 타결을 설득했으나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특별조정위원회의 권고와 공익위원의 의견을 들어 부득이 직권중재회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보건의료노조 쟁의행위에 대한 중앙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 회부 결정이 노동계의 거센 반발을 부르고 있다. 민주노총은 중노위가 직권중재회부를 13일까지 철회하지 않을 경우, 민주노총 소속 근로자 위원 모두 중노위 위원직을 사퇴하고 중노위 해체 투쟁에 나서겠다고 10일 밝혔다. 민주노총과 보건의료노조 지도부는 8·9일 이틀 동안 중노위 위원장실에서 보건의료노조 쟁의행위에 대해 지난해와는 달리 직권중재 회부를 결정한 데 반발하며, 직권중재 철회를 요구하는 농성을 벌였었다. 이석행 민주노총 사무총장은 “‘직권중재는 구악이며 폐지돼야 한다’는 신홍 중노위 위원장의 평소 소신이 왜 무너졌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이는 청와대나 노동부의 외압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신 위원장은 8일 “조정기간을 연장해 자율교섭을 통한 합의 타결을 설득했으나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특별조정위원회의 권고와 공익위원의 의견을 들어 부득이 직권중재회부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양상우 기자 y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