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마을 주민들과 대학생 자원봉사자 등이 2일 오전 서울 강남구 포이동(현 개포동) 재건마을 망루 앞에서 ‘1차 주거복구 기자회견’을 마친 뒤 조립식 패널로 직접 아이들의 공부방을 짓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50일 넘게 협상 ‘공회전’
공부방 등 조립건물 지어
철거 대비 경계 서기도
공부방 등 조립건물 지어
철거 대비 경계 서기도
지난 6월12일 화재로 폐허가 된 서울 강남구 포이동 266번지(현 개포동 1266번지) ‘재건마을’ 주민들이 2일 조립식 패널로 집 넉 채를 직접 지었다. 시민들의 후원금과 주민들이 쓰레기 더미에서 고철을 주워 판 돈으로 아이들 공부방을 비롯해 할머니·할아버지 거처를 차례로 마련했다. 화재 뒤 50일이 넘었지만, 마을 안에는 여전히 화마의 잔재가 쌓여 있다.
주민들과 2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주거복구공동대책위원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와 강남구청이 토지변상금 철회 등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직접 주거복구를 선언했다.
공대위는 “강남구청이 임대주택 제공을 제안했으나, 재산을 가압류시켜놓고 이주를 하라는 건 모순”이라며 “서울시가 컨테이너 임시숙소를 임대해주겠다고 해 주민 총투표를 했으나, 불이 난 75가구에 못 미치는 40개 컨테이너에 살면서 지원 대책을 하염없이 기다릴 수는 없다는 의견이 많아 거부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날 들어선 조립식 집은 언제 철거될지 모른다. 강남구청 관계자는 “현재 마을 안에 건물을 짓는 건 현행법 위반이라 그냥 방치할 수 없다”며 “자진철거를 유도하다 안 되면 행정집행을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철거반이 들어올 것에 대비해 마을 곳곳에서 ‘경계’를 서고 있다.
지난 6년 동안 방과후 공부방을 운영하며 포이동과 인연을 맺은 사단법인 평화캠프는 화재복구 후원금 3천만원을 모아 주민들에게 전했다. 또 평화캠프 등 6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사람연대’는 이날 저녁 재건마을에서 음악회·밤샘 영화상영·사진전 등으로 꾸민 1박 2일간의 야영페스티벌을 열었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