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현 교육감의 후보 매수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문제의 2억원과 관련된 곽 교육감 주변 인사들을 소환하면서 곽 교육감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려는 수사의 일환이기도 하지만, 검찰로서는 결백을 주장하며 버티기에 들어간 곽 교육감에게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부수적 ‘효과’도 계산에 넣었음 직하다.
지난 29일 검찰에 체포됐다가 31일 풀려난 강경선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는 곽 교육감과 서울대 법학과 72학번 동기다. 곽 교육감은 지난 28일 기자회견에서 박명기 서울교대 교수 쪽에 2억원을 건넨 사실을 시인하면서, 이 돈을 대신 전달한 강 교수를 “선거와 무관한, 나의 가장 친한 친구”라고 소개했다. 1984년 방송통신대 법학과 교수로 임용된 강씨는 1989년 곽 교육감과 함께 진보적 법학자들의 모임인 ‘민주주의 법학연구회’를 만들었다. 1993년 곽 교육감을 방송통신대로 이끈 사람도 강 교수였다고 한다. 곽 교육감 취임 뒤 강 교수는 서울시교육청 인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그러나 곽 교육감은 취임 3개월 만에 박 교수의 금품 요구로 곤경에 처했고 절친한 친구인 강 교수에게 도움을 요청하기에 이른다. 강 교수는 ‘40년 지기’의 부탁을 들어준 까닭에 검찰에 체포되는 곤욕을 치른 셈이다.
검찰은 이날 곽 교육감의 부인과 처형도 함께 불렀다. 비록 참고인 신분이기는 하지만, 곽 교육감을 강하게 옥죄는 형국이다. 검찰이 강 교수에 이어 곽 교육감의 부인 정씨를 부른 ‘순서’도 주목할 부분이다. 지난 2월 박 교수에게 처음 건너간 5000만원 중 3000만원이 정씨의 계좌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검찰은 이날 “이 사건은 돈 사건”이라고 말해, 수사의 초점이 2억원의 출처에 맞춰져 있음을 분명히 했다. 검찰은 특히 ‘곽 교육감 → 강 교수 → 최아무개씨(여·박 교수 동생의 인척) → 박 교수 동생 → 박 교수’로 이어진 복잡한 돈의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곽 교육감은 “드러나게 지원하면 오해가 있을 수 있기에” 2억원을 그렇게 전달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그러나 검찰은 곽 교육감과 박 교수 쪽이 돈을 세탁이라도 하듯 ‘돌리고 돌려서’ 주고받은 것을 두고 ‘출처’를 더욱 의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곽 교육감 부인 정씨의 개인계좌에서 나온 30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1억7000만원의 출처가 더 큰 관심거리다. 검찰 관계자는 “출처를 조사하는 건 맞지만 아직 명확하게 확인된 건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곽 교육감의 개인돈이거나, 단일화에 참여한 단체가 십시일반으로 마련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곽 교육감 쪽 인사는 “곽 교육감의 부인이 의사이고 2억원 정도는 부부가 충분히 마련할 수 있는 돈”이라며 “만약 그 돈의 출처가 문제가 된다면 이렇게 (사퇴하지 않고) 버틸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