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0년 동안 급속한 도시화의 영향으로 서울 지역에 집중호우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기상청 산하 기상연구소의 김연희 연구사팀은 12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펴낸 ‘서울도시연구’에 발표한 ‘서울지역 강우특성 분석을 통한 도시화 영향평가’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서울 지역의 강수일수는 감소 추세이나 강수량은 증가 추세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61년부터 2003년까지 서울, 수원, 인천, 양평, 이천 등 5개 권역의 기상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시간당 20㎜이상’ 7배
연구팀은 서울에 시간당 20㎜ 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린 시간은 1960년대 연평균 9시간에서 1970년대 15시간, 80년대 24시간, 90년대 61시간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또 시간대별로 새벽 1~6시 사이에 주로 내리던 집중호우가 90년대 들면서 도시의 인적·물적 활동이 활발한 오전 7시~낮 12시와 오후 1~6시 사이에 많이 내리고 있다. 연구팀은 도시화에 따른 열섬 현상으로 도시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기류와 구름이 쉽게 생성되고, 대기오염이 구름 응결을 촉진해 집중호우가 잦아졌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서울과 주변지역의 연평균 강우량을 비교했더니, 서울이 1354㎜로 상대적으로 도시화가 덜한 인천(1154㎜), 수원(1250㎜) 등보다 훨씬 많았다. 김연희 연구사는 “열섬 효과와 대기오염 등 도시화의 여러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서울 지역의 국지성 강우와 집중호우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호을 기자 helee@hani.co.kr
연구팀은 서울에 시간당 20㎜ 이상의 집중호우가 내린 시간은 1960년대 연평균 9시간에서 1970년대 15시간, 80년대 24시간, 90년대 61시간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또 시간대별로 새벽 1~6시 사이에 주로 내리던 집중호우가 90년대 들면서 도시의 인적·물적 활동이 활발한 오전 7시~낮 12시와 오후 1~6시 사이에 많이 내리고 있다. 연구팀은 도시화에 따른 열섬 현상으로 도시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승기류와 구름이 쉽게 생성되고, 대기오염이 구름 응결을 촉진해 집중호우가 잦아졌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서울과 주변지역의 연평균 강우량을 비교했더니, 서울이 1354㎜로 상대적으로 도시화가 덜한 인천(1154㎜), 수원(1250㎜) 등보다 훨씬 많았다. 김연희 연구사는 “열섬 효과와 대기오염 등 도시화의 여러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서울 지역의 국지성 강우와 집중호우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호을 기자 he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