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거래소 이사장 “심각 단계 이전에도 있어 …보고않고 해결”
올해 들어 지난 15일 이전에도 실질 예비력이 100만㎾ 아래로 내려간 적이 몇 차례 더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적인 동시정전(블랙아웃) 직전의 위기상황이 새로운 게 아니라는 얘기다. 또 정부는 사고 당일 오후 3시께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아 단전에 들어갔다고 밝혀왔지만, 실제로는 1시35분부터 비상상황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염명천 전력거래소 이사장은 19일 열린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올해 실질 예비전력이 100만㎾ 아래로 내려간 적이 있는가’라는 박민식 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에 “그런 적이 더 있다”고 답했다. 예비전력이 100만㎾ 아래로 내려갈 경우 전력수급 안정화 조처 가운데 최악의 상황인 ‘심각’(1급·적색) 단계다. 가동중인 원자력발전소 하나만 멈춰도 ‘블랙아웃’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염 이사장은 “(당시에도) 지식경제부에 보고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알아서 했다”고 말했다. 전력거래소 운영 등을 규정한 ‘전력시장 운영규칙’을 보면, 예비력이 400만㎾ 아래로 내려가면 지경부가 포함된 전력 수급대책 기구가 운영되도록 돼 있지만 이런 절차가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한편 전력 대란이 있었던 당일 오후 1시35분에 이미 실질 예비력이 96만4000㎾로 떨어졌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경부가 김영환 국회 지경위원장에게 제출한 ‘5분 단위로 허수를 빼고 실적부하를 조사한 자료’를 보면, 이미 이때부터 예비력은 ‘긴급 부하조정’(강제 정전)을 실시해야 하는 수준으로 떨어져 있었다. 이런 상태는 오후 3시까지 지속됐다. 그러나 지경부의 전력수급 모니터상에선 300만㎾ 이상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전종택 전력거래소 중앙급전소장은 “24만㎾까지 떨어진 것은 우리들도 사후에 주파수를 추적해 알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 사고 당시 예비력이 얼마인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고 시인한 셈이다. 또 중소기업청이 자체 파악한 결과, 이번 단전사태로 전국 중소기업 4588곳이 302억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됐다.
최현준 류이근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