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공군전투기 2대, 서해와 남해에서 연이어 추락

등록 2005-07-13 22:25수정 2005-07-14 01:11

13일 오후 훈련중이던 공군 전투기 2대가 남해상과 서해상에서 연이어 추락했다. 사진은 남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와 동종의 F-4E (위), 서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와 동종의 F-5E.  (서울=연합뉴스)
13일 오후 훈련중이던 공군 전투기 2대가 남해상과 서해상에서 연이어 추락했다. 사진은 남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와 동종의 F-4E (위), 서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와 동종의 F-5E. (서울=연합뉴스)
13일 오후 남해와 서해안 상공에서 훈련 중이던 공군 전투기 2대가 연이어 추락했다.

공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40분께 남해안 목포 남방 추자도 상공에서 공해 합동훈련 중이던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1대가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이어 오후 8시48분께 서해 안면도 상공에서 공해 합동훈련 중이던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F(제공호) 전투기 1대도 레이더망에서 갑자기 사라졌다.

공군은 이들 전투기가 추락한 것으로 보고 해군 함정과 한미 공군 합동으로 구조헬기를 사고해역에 급파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조종사 생존여부는 확인되지 않고있다. 공군은 사고가 나자 배창식 참모차장을 위원장으로 사고조사위원회를 긴급 구성해 정확한 사고경위 조사에 착수했다.

공군은 훈련 당시 상공의 날씨가 좋지 않았던 점으로 미뤄 기상악화로 사고가 났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완도=연합뉴스)


제주해경, 추락 공군기 수색

제주해양경찰서는 13일 오후 8시40분께 남해안 목포 남방 추자도 상공에서 해군과 합동훈련 중 레이더에서 사라진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수색을 위해 함정 3척을 급파했다.

제주해경은 해군으로 부터 협조를 요청을 받고 제주부근 해상에서 경비중이던 110 함정과 P36정, 추자도에 있던 S59 순찰정 등 함정 3척을 현지로 급파, 추락한 공군기를 수색중이라고 밝혔다. 제주해경은 헬기의 경우 기상악화로 이륙이 힘든 상태여서 날이 밝는대로 특공대원들을 탑승시켜 수색에 합류시킬 방침이다. (제주=연합뉴스)




전투기 2대 추락…”이제는 공군까지”

육군의 `총기난사' 사건과 해군의 제초제 사건등에 이어 이번에는 공군 전투기 2대가 잇달아 추락하는 사고까지 발생, 충격을 주고 있다.

13일 공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40분께 남해 상공에서 공해합동훈련중이던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 전투기 1대가 갑자기 레이더에서 사라져 실종됐다. 또 8분 후에는 서해상에서 공해합동훈련중이던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F 전투기 1대도 실종됐다.

군 당국은 이들 전투기가 추락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사고 지역에 해군 함정과 공군 구조헬기 및 탐색 항공기를 급파,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조종사의 생사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날 사고는 그동안 각종 사건.사고의 악몽에서 이제 갓 깨어나려던 군은 물론, 국민에게도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올해 들어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사건과 북한군 병사의 최전방 철책침투 사건 및 해군 고속단정 분실, 해병대 알몸사진 유포, 해군 제초제 사건, 최전방 GP 총기난사 등 각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달 19일 최전방 GP에서 수류탄 투척과 총기난사로 8명의 사망자와 4명의 부상자를 낸 `총기난사' 사건은 사건 발생 이후 거의 1주일 동안 군은 물론, 온 나라를 뒤흔들었다. 이 사건은 윤광웅 국방장관의 사의표명과 한나라당이 윤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제출해 표결까지 가는 사태로까지 전개돼 엄청난 파장과 휴유증을 낳았었다.

국방부와 군은 이 같은 시련을 딛고 병영문화 개선과 사건.사고 재발 방지, 국방개혁을 위해 몸을 추스르고 있던 상황이었다. 육군은 특히 이날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GP의 상급부대 사단장과 군단장 등 지휘라인에 대한 징계까지 마무리했다. 이날 전투기 추락의 원인이 조종사의 실수인지, 기체결함으로 인한 것인지는 가려지지 않았지만 안정을 되찾던 군이 받은 충격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군 일각에서는 총기난사 등 육군과 해군, 해병대 등에서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연이어 사건.사고가 터지자 "이번에는 공군 차례가 아니냐"는 농담섞인 말을 건네기도 했었다. 공군을 비롯한 군 관계자들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 된 것에 대해 "이제는 공군까지"라며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서울=연합뉴스)

■ 공군 전투기 추락사고 주요 일지

13일 오후 남해와 서해안 상공에서 훈련 중이던 공군 F-4E(팬텀) 전투기 1대와 F-5F(제공호) 전투기 1대가 잇따라 추락했다. 다음은 90년대 이후 공군 전투기 추락사고 주요 일지.

▲2004.3.11 =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2대가 서해상에서 충돌, 조종사 2명 사망.
▲2003.9.19 = 공군 8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2대가 훈련임무 도중 충북 영동지역 산악에 추락, 조종사 2명 사망.
▲2003.5.13 = 경북 예천군 유천면 화지리에서 제16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1대가 비닐하우스로 추락, 조종사 1명 사망.
▲2002.10.4 = 전북 군산시 옥구읍 선제리 자양중학교 앞 논에 공군 F4 팬텀기 1대가 추락, 조종사 2명은 추락 직전 탈출.
▲2002.9.18 = 경북 상주시 사벌면 상덕가리 야산 중턱에 공군 F-16D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은 비상탈출.
▲2002.2.26 = 충남 서산시 고북면 정자리 A지구 농장 논에 비행훈련 중이던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소속 KF-16 전투기 1대가 추락, 조종사 1명은 비상탈출.
▲2001.10.5 = 강원도 영월 필승사격장내에서 공군 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1대가 공대지 전술폭격 훈련중 추락, 조종사 2명 사망.
▲2001.6.8 = 경북 안동시 풍천면 어담리 뒤편 야산에 훈련 중이던 공군 제19전투비행단 소속 F-16 P/B(피스브릿지) 전투기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2001.4.18 =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인근 야산에서 공군 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비상탈출.
▲2000.10.4 = 충북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상공에서 훈련비행 중이던 공군 17전투비행단 소속 F4-E 팬텀기 추락.
▲1999.9.14 = 경북 문경시 문경읍 형천1리 속칭 왕의산 중턱에서 공군 F-5E(국산 제공호) 전투기 추락, 조종사 1명 사망.
▲1998.5.8 =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물로2리 인근 야산에 공군 곡예 비행팀 블랙이글 소속 A-37 전투기 2대가 공중에서 서로 날개가 부딪히면서 한대가 추락, 조종사 1명 사망.
▲1997.9.18 = 충남 서산시 음암면 도당1리 야산에 훈련 비행중이던 공군 서산기지 소속 KF-16 전투기 추락, 조종사 비상탈출.
▲1997.8.6 = 비행훈련 중이던 공군 KF-16 전투기 1대가 경기도 여주 여주전문대 뒤편 논에 추락, 조종사는 비상탈출.
▲1997.4.9 = 공군 제3591 부대 소속 F-5E 전투기 1대가 임무 수행중 계룡산 중턱에 추락, 조종사 1명 사망.
▲1995.1.5 = 경남 하동군 금남면 덕천리 금호산 중턱에 훈련비행중이던 공군 5718부대 소속 T-59 호크 훈련전투기 2대가 충돌해 추락, 조종사 4명 사망.
▲1994.10.19 =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마산리 월산마을 인근 상공에서 훈련비행중이던 공군 제1전투비행단 소속 F-5B 전투기 2대 충돌해 해상에 추락, 조종사 1명 사망.
▲1994.6.10 = 충북 청원군 강외면 야산 정상부근에 공군 F4-E 팬텀기 1대 추락, 조종사 2명 사망.
▲1994.5.20 = 전북 군산 서쪽 37㎞ 해상에서 공군 F-4E 팬텀기 1대가 훈련도중 추락.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