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훈련중이던 공군 전투기 2대가 남해상과 서해상에서 연이어 추락했다. 사진은 남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와 동종의 F-4E (위), 서해상에서 추락한 전투기와 동종의 F-5E. (서울=연합뉴스)
13일 오후 남해와 서해안 상공에서 훈련 중이던 공군 전투기 2대가 연이어 추락했다.
공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40분께 남해안 목포 남방 추자도 상공에서 공해 합동훈련 중이던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1대가 레이더에서 사라졌다. 이어 오후 8시48분께 서해 안면도 상공에서 공해 합동훈련 중이던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F(제공호) 전투기 1대도 레이더망에서 갑자기 사라졌다.
공군은 이들 전투기가 추락한 것으로 보고 해군 함정과 한미 공군 합동으로 구조헬기를 사고해역에 급파해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조종사 생존여부는 확인되지 않고있다. 공군은 사고가 나자 배창식 참모차장을 위원장으로 사고조사위원회를 긴급 구성해 정확한 사고경위 조사에 착수했다.
공군은 훈련 당시 상공의 날씨가 좋지 않았던 점으로 미뤄 기상악화로 사고가 났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울.완도=연합뉴스)
제주해경, 추락 공군기 수색 제주해양경찰서는 13일 오후 8시40분께 남해안 목포 남방 추자도 상공에서 해군과 합동훈련 중 레이더에서 사라진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수색을 위해 함정 3척을 급파했다. 제주해경은 해군으로 부터 협조를 요청을 받고 제주부근 해상에서 경비중이던 110 함정과 P36정, 추자도에 있던 S59 순찰정 등 함정 3척을 현지로 급파, 추락한 공군기를 수색중이라고 밝혔다. 제주해경은 헬기의 경우 기상악화로 이륙이 힘든 상태여서 날이 밝는대로 특공대원들을 탑승시켜 수색에 합류시킬 방침이다. (제주=연합뉴스)
전투기 2대 추락…”이제는 공군까지” 육군의 `총기난사' 사건과 해군의 제초제 사건등에 이어 이번에는 공군 전투기 2대가 잇달아 추락하는 사고까지 발생, 충격을 주고 있다. 13일 공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40분께 남해 상공에서 공해합동훈련중이던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 전투기 1대가 갑자기 레이더에서 사라져 실종됐다. 또 8분 후에는 서해상에서 공해합동훈련중이던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F 전투기 1대도 실종됐다. 군 당국은 이들 전투기가 추락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사고 지역에 해군 함정과 공군 구조헬기 및 탐색 항공기를 급파,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조종사의 생사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날 사고는 그동안 각종 사건.사고의 악몽에서 이제 갓 깨어나려던 군은 물론, 국민에게도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올해 들어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사건과 북한군 병사의 최전방 철책침투 사건 및 해군 고속단정 분실, 해병대 알몸사진 유포, 해군 제초제 사건, 최전방 GP 총기난사 등 각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달 19일 최전방 GP에서 수류탄 투척과 총기난사로 8명의 사망자와 4명의 부상자를 낸 `총기난사' 사건은 사건 발생 이후 거의 1주일 동안 군은 물론, 온 나라를 뒤흔들었다. 이 사건은 윤광웅 국방장관의 사의표명과 한나라당이 윤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제출해 표결까지 가는 사태로까지 전개돼 엄청난 파장과 휴유증을 낳았었다. 국방부와 군은 이 같은 시련을 딛고 병영문화 개선과 사건.사고 재발 방지, 국방개혁을 위해 몸을 추스르고 있던 상황이었다. 육군은 특히 이날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GP의 상급부대 사단장과 군단장 등 지휘라인에 대한 징계까지 마무리했다. 이날 전투기 추락의 원인이 조종사의 실수인지, 기체결함으로 인한 것인지는 가려지지 않았지만 안정을 되찾던 군이 받은 충격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군 일각에서는 총기난사 등 육군과 해군, 해병대 등에서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연이어 사건.사고가 터지자 "이번에는 공군 차례가 아니냐"는 농담섞인 말을 건네기도 했었다. 공군을 비롯한 군 관계자들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 된 것에 대해 "이제는 공군까지"라며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서울=연합뉴스)
제주해경, 추락 공군기 수색 제주해양경찰서는 13일 오후 8시40분께 남해안 목포 남방 추자도 상공에서 해군과 합동훈련 중 레이더에서 사라진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팬텀) 전투기 수색을 위해 함정 3척을 급파했다. 제주해경은 해군으로 부터 협조를 요청을 받고 제주부근 해상에서 경비중이던 110 함정과 P36정, 추자도에 있던 S59 순찰정 등 함정 3척을 현지로 급파, 추락한 공군기를 수색중이라고 밝혔다. 제주해경은 헬기의 경우 기상악화로 이륙이 힘든 상태여서 날이 밝는대로 특공대원들을 탑승시켜 수색에 합류시킬 방침이다. (제주=연합뉴스)
전투기 2대 추락…”이제는 공군까지” 육군의 `총기난사' 사건과 해군의 제초제 사건등에 이어 이번에는 공군 전투기 2대가 잇달아 추락하는 사고까지 발생, 충격을 주고 있다. 13일 공군에 따르면 이날 오후 8시40분께 남해 상공에서 공해합동훈련중이던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 전투기 1대가 갑자기 레이더에서 사라져 실종됐다. 또 8분 후에는 서해상에서 공해합동훈련중이던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F 전투기 1대도 실종됐다. 군 당국은 이들 전투기가 추락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사고 지역에 해군 함정과 공군 구조헬기 및 탐색 항공기를 급파,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조종사의 생사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날 사고는 그동안 각종 사건.사고의 악몽에서 이제 갓 깨어나려던 군은 물론, 국민에게도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올해 들어 충남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사건과 북한군 병사의 최전방 철책침투 사건 및 해군 고속단정 분실, 해병대 알몸사진 유포, 해군 제초제 사건, 최전방 GP 총기난사 등 각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지난달 19일 최전방 GP에서 수류탄 투척과 총기난사로 8명의 사망자와 4명의 부상자를 낸 `총기난사' 사건은 사건 발생 이후 거의 1주일 동안 군은 물론, 온 나라를 뒤흔들었다. 이 사건은 윤광웅 국방장관의 사의표명과 한나라당이 윤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제출해 표결까지 가는 사태로까지 전개돼 엄청난 파장과 휴유증을 낳았었다. 국방부와 군은 이 같은 시련을 딛고 병영문화 개선과 사건.사고 재발 방지, 국방개혁을 위해 몸을 추스르고 있던 상황이었다. 육군은 특히 이날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한 GP의 상급부대 사단장과 군단장 등 지휘라인에 대한 징계까지 마무리했다. 이날 전투기 추락의 원인이 조종사의 실수인지, 기체결함으로 인한 것인지는 가려지지 않았지만 안정을 되찾던 군이 받은 충격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군 일각에서는 총기난사 등 육군과 해군, 해병대 등에서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연이어 사건.사고가 터지자 "이번에는 공군 차례가 아니냐"는 농담섞인 말을 건네기도 했었다. 공군을 비롯한 군 관계자들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화 된 것에 대해 "이제는 공군까지"라며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서울=연합뉴스)
| |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