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궐 선거날인 26일, 유권자들 사이에선 선거 안내문을 받지 못했다거나, 투표장소가 지난 선거 당시와 바뀐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해 헤맸다는 불만이 쏟아졌다.
서울 양천구 신정2동에 사는 한아무개(65)씨는 이날 아침 “선거 안내문이 도착하지 않아 당연히 집 근처 주민센터라고 생각하고 갔는데 정작 투표소는 다른 곳이었다”며 “일정이 촉박해 거기까지 가서 투표를 못 할 것 같아 속상하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강동구 암사1동 이아무개(54)씨는 “나를 포함해 주변의 10가구가 안내문을 받지 못했다”며 “주민센터에 찾아가서야 투표소를 안내받았다”고 했다.
조아무개씨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중앙선관위) 누리집에 “20년 동안 홍보물 못 받고 선거하긴 처음”이라는 글을 올려 선관위의 업무 소홀을 비난했다.
서울시내 한 자치구 선관위 관계자는 “우편 시설이 부실해 한 마을 것이 통째로 없어지거나, 폐지 수거하는 분들이 가져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며 “발송한 뒤에도 동사무소에 확인 전화를 한다”고 말했다. 중앙선관위도 “안내문을 못 받았다는 전화가 오면 각 동사무소 직원들에게 직접 가져다주도록 지시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구 신당2동에 사는 이아무개(50)씨는 “어젯밤까지 선거 안내문이 안 와 선관위에 물어봤더니 ‘취객이 가져갔을 것’이라는 말만 할 뿐 별다른 안내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투표소가 갑자기 바뀌었는데도 안내를 제대로 받지 못해 헛걸음을 한 사례도 많았다. 김아무개(48·용산구 신계동)씨는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알려준 장소로 가보니 투표소가 아니었다”고 말했다”고 했다.
중앙선관위 관계자는 “안내문이 발송된 뒤에 바뀐 경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경미 정환봉 김효진 기자 km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