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박종철씨 고문치사 사건으로 세인의 주목을 받았던 경찰청 `남영동 보안분실'(전 대공분실)을 국민에게 돌려주자는 캠페인이 시작된다.
인권실천시민연대 오창익 사무국장은 17일 "각계 각층의 인사들이 참여한 `남영동 보안분실을 국민에게'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보안분실을 국민의 품으로 돌리려는 활동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추진위에는 김성수 성공회대 총장과 박종철씨 아버지 박정기씨, 박형규 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민주노동당 이영순 의원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추진위는 18일 프레스센터에서 출범식을 열고, 남영동 보안분실의 대지와 건물이 국민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활동을 벌여나갈 계획이다.
추진위는 기자회견 뒤 남영동 보안분실 방문을 시작으로 보안분실 인간띠 잇기 행사와 보안분실 앞 거리공연, 서명운동 등을 통해 여론을 확산시킬 예정이다.
또 이해찬 국무총리와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 허준영 경찰청장과 면담을 통해 이같은 제안을 전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오 국장은 "해방 60주년과 경찰 창설 60주년을 맞아 고문ㆍ조작의 상징인 남영동 보안분실을 국민에게 돌려주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경찰과 국가의 역할을 다시금 고민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캠페인의 취지를 설명했다.
1976년 생긴 남영동 보안분실은 대지 3천여평에 건평 1천600여평 규모로 7층 규모 본관과 2층 규모 부속건물, 2층 규모 별관과 테니스 코트 2면 등으로 구성됐으며, 현재 경찰청 보안과 직원 51명이 근무하고 있다.
박종철씨 외에도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과 21년만에 간첩 혐의를 벗은 함주명씨도 1980년대 이곳에서 고문을 받았다. 남영동 보안분실은 2000년 리모델링을 계기로 5층의 조사실은 모두 모습을 바꿨으나 박종철씨가 고문으로 숨진 509호실은 `역사 보존' 차원에서 욕조 등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그런 캠페인이 준비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으며 그 문제로 담당자도 고민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종철씨 외에도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과 21년만에 간첩 혐의를 벗은 함주명씨도 1980년대 이곳에서 고문을 받았다. 남영동 보안분실은 2000년 리모델링을 계기로 5층의 조사실은 모두 모습을 바꿨으나 박종철씨가 고문으로 숨진 509호실은 `역사 보존' 차원에서 욕조 등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그런 캠페인이 준비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으며 그 문제로 담당자도 고민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