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억 수수’ 의혹 보좌관 영장 청구…저축은행서 2억 받은 정황도
검찰 수사의 칼끝이 조금의 주저함도 없이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을 향하고 있다. 이 의원의 15년 심복인 박아무개(46) 보좌관을 전격 체포한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 심재돈)는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인 뒤 9일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의 알선수재 혐의로 그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저축은행 비리를 수사중인 합동수사단(단장 권익환)도 박 보좌관이 유동천(71·구속기소) 제일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퇴출 저지 명목으로 2억여원을 받은 정황을 확인하고, 박 보좌관의 구속영장 혐의에 이 부분을 포함시켰다. 그동안 ‘지나치게 권력의 기류를 살핀다’는 소리를 듣던 검찰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검찰은 과연 어디까지 갈 것인가?
애초 정권 실세 로비 의혹은 이국철(49) 에스엘에스(SLS)그룹 회장과 면담을 했다는 박지원 민주당 의원의 ‘전언’이 전부였다. “이 회장이 박 보좌관과 사업가 문아무개씨에게 30억원을 줬다”는 내용이다. 검찰은 처음에 “믿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으나, 차곡차곡 의혹의 실마리를 따라갔다. 문씨가 대영로직스라는 렌터카 업체를 설립한 뒤 에스엘에스 계열사 소유의 선박과 차량 등을 무더기로 넘겨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 회장이 “회사를 살려달라”며 문씨에게 7억8000만원을 건넨 정황도 포착했으며, 박 보좌관에게는 7억원이 건너갔다는 진술도 확보했다. 이 회장 주변에서 흘러나온 의혹에서 시작된 수사가 사업가 문씨 구속을 거쳐 박 보좌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에까지 다다른 셈이다.
검찰은 “그저 나오는 대로 처리할 뿐이다”라며, 수사의 초점이 이 의원에게 집중되는 것을 당연한 수순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문씨 관련 의혹을 수사하면 어디로 간다는 걸 모르지 않는다. 수사의 방향이 어디로 갈지 알고 수사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정권 최고 실세인 이 의원에 대한 수사가 두려웠다면 처음부터 시작하지도 않았다는 얘기다.
검찰의 이런 태도는 9일 박 보좌관을 상대로 ‘돈의 행방’을 강도 높게 추궁하는 장면에서도 이어진다. 앞서 검찰은 이 회장과 문 대표에게서 “박 보좌관에게 7억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받아냈고, 박 보좌관 주변의 광범위한 계좌추적을 통해 의심스런 뭉칫돈의 흐름도 파악했다. 2009년부터 최근까지 이 회장이 박 보좌관을 국회에서 여러 차례 만나 회사 구명 관련 민원을 전달했다는 정황도 포착했다. 검찰은 문제의 7억원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모든 수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 7억원의 행방이 모든 것을 말해줄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