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초기 술자리 사실도 은폐
‘우발범행’ 짜맞추기 수사의심
경찰 “계좌확인에 시간 걸려”
‘우발범행’ 짜맞추기 수사의심
경찰 “계좌확인에 시간 걸려”
경찰은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사건을 수사하면서 이번 돈거래뿐만 아니라 정치권 인사들과의 모임 등 사건의 실체와 관련해 중요한 ‘사실’을 감춰 은폐 의혹을 자초했다. 경찰은 매번 언론 보도가 있고 나서야 마지못해 사실로 인정하는 군색한 태도를 되풀이해왔다.
경찰은 피의자와 주요 참고인들 사이의 돈거래 사실을 공개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은 뒤 은행별로 계좌거래 내역을 통보받는 데 시간이 걸려 (사건을 검찰로 송치한 뒤인) 지난 12일에야 금전거래 사실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고 14일 해명했다. 하지만 경찰은 이미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 비서 공아무개씨와 박희태 국회의장 전 비서 김아무개씨에게서 돈거래 사실을 인정하는 진술을 확보하고 있었다. 더 나아가 공씨 등 피의자 4명의 계좌를 임의제출 형식으로 넘겨받아 돈거래 사실도 확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도 경찰은 수사기간 동안 매일 진행된 브리핑은 물론 수사결과를 발표할 때에도 “범행과 관련된 금전거래는 전혀 없었고, 관련 진술도 없었다”며 부인으로 일관했다.
이 때문에 경찰이 이번 사건을 ‘공씨가 술김에 저지른 우발적 단독범행’으로 미리 결론을 내놓고, 수사 결과를 거기에 짜맞추려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이에 앞서 경찰은 이 사건 수사과정에서 정치권 인사들을 조사한 사실을 숨겼다가 부실 수사·은폐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경찰은 10·26 보궐선거 전날인 10월25일, 디도스 공격에 대한 얘기가 오간 2차 술자리에 앞서 있었던 1차 저녁식사 모임에 청와대 국내의전팀 박아무개(38·3급) 행정관이 참석한 사실을 확인해 소환 조사까지 하고도 이를 숨겨 논란을 자초했다.
또 한나라당 ㅈ 의원 비서인 김아무개(34)씨가 이 자리에 참석한 것을 공개할 때도 경찰은 김씨의 신분을 감췄다가 취재진이 김씨의 신분을 밝혀내 확인을 요청하자 마지못해 확인해 주기도 했다. 경찰은 디도스 공격 논의가 이뤄진 2차 술자리에 참석한 국회의장 전 비서 김씨의 존재에 대해서도, 일부 언론의 보도가 나왔음에도 확인하기를 계속 회피하다가 만 하루가 지나서야 사실이라고 시인한 바 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