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1학기 논술 전형을 앞두고 대학들이 본고사 판단 기준이 없어 혼선을 빚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한겨레> 18일치 2면), 교육인적자원부는 18일 각 대학들에 본고사 논란이 제기되지 않는 방향으로 논술 문항을 내도록 권유하는 공문을 보냈다.
교육부는 공문에서 “지난해 일부 대학이 시행한 논술이 논술 범위를 벗어나 ‘본고사로 변질됐다’는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며 “올 1학기 수시모집에서 논술 시행 대학은 수험생 혼란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대학의 전문적이고 자율적인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 본고사 논란이 다시 제기되지 않는 방향으로 출제되도록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또 “2학기 수시와 정시 모집에서 논술을 시행할 예정인 대학도 논술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8월 중 발표될 예정임을 감안해 출제 준비를 하고, 수험생 모집요강 발표 때도 이를 수험생에게 적절히 알려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이날 정부중앙청사 집무실에서 문상주 한국학원총연합회 회장 등 학원 관계자 10여명을 만나 “학원에서 본고사형 논술 강좌 개설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 부총리는 “새 대입안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입시 학원은 통합형 논술과 관련해 학부모·학생의 불안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국·영·수 위주의 본고사형 논술대비 강좌를 개설하고 홍보하는 일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대해 문 회장은 “통합형 논술시험의 실체와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무분별한 국·영·수 중심의 통합교과형 논술대비반 개설을 자제하겠다”고 밝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