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가, 현실 정치에 도전장
찬 “소중한 덕목 가져…지지 받아야”
반 “독립성 저하 걱정…내부 성찰을”
찬 “소중한 덕목 가져…지지 받아야”
반 “독립성 저하 걱정…내부 성찰을”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팽배해지면서 시민운동 출신 인사들의 정치 참여에 대한 반감이 많이 누그러지고 있지만, 비판적인 목소리도 여전히 만만치 않다.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이 무뎌지고 시민단체의 역량도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고계현 경실련 사무총장은 “이명박 정부 아래서 시민운동이 위축됐다고 하는데 왜 그런 결과가 나타났는지에 대한 내적 반성이나 성찰은 드물었다”며 “(적극적인 정치 참여로) 앞으로 시민운동의 독립성과 자주성이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밝혔다. 한 시민단체 활동가는 “시민운동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정치권으로 가버리면, 시민단체가 정치 진입의 발판으로 활용되는 게 아니냐는 부정적인 인식이 생길 수 있다”며 “이는 결국 시민단체의 신뢰 하락과 역량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정치학)는 “이명박 정부 때문에 시민사회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이유로 정치로 나아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며 “새로운 사람이 기존 정당에 진출한다고 해서 우리 정치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반해 고원 서울과학기술대 교수(정치학)는 “시민들이 새로운 정치를 바라는 만큼 역량 있는 시민운동가들이 정치권에 진출해 변화를 몰고 올 필요가 있다”며 “시민운동 출신 인사들은 우리 사회를 위해 공헌했던 사람으로서 정치에 기여할 자격이 충분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19대 총선 출마를 결심한 박원석 전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정치와 시민운동의 관계가 보다 개방적으로 가는 게 맞고 인적 순환은 바람직하다고 본다”며 “시민운동가의 정치 참여가 이명박 정부의 퇴행을 막고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통합당 최고위원 경선에 나선 이학영 전 한국와이엠시에이(YMCA) 전국연맹 사무총장은 “세상에 중립이라는 것은 없는데도 진보만 그 틀에 갇혀서 정치에 뛰어들지 못하고 있었다”며 “시민단체가 협력할 때는 협력하고 비판할 때는 비판하는 방식으로 정치와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환봉 박현정 기자 bon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