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서…‘유류탱크 잔류가스 폭발’ 추정
기름유출은 없어…선장 “북한 포격 다시 터진줄…”
기름유출은 없어…선장 “북한 포격 다시 터진줄…”
인천 앞바다를 운항하던 유류 화물선이 폭발과 함께 두동강 나면서 선원 5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됐다.
15일 아침 8시5분께 인천시 옹진군 자월도 북쪽 3마일(5.5㎞) 해상에서 부산 선적 유류화물선인 4191t급 두라3호(선장 안상원·57)가 폭발과 함께 선체가 두동강 나 반쯤 침몰했다. 이 사고로 기관사 이진수(20)씨와 미얀마 선원 뗏나잉원(38), 묘민자우(32) 등 5명이 숨지고 일등항해사 유준태(52)씨 등 6명이 실종됐다.
두라3호는 하루 전날인 14일 저녁 휘발유 6500t을 인천 남항에 내린 뒤 15일 새벽 6시30분께 출발해 충남 서산의 대산항으로 돌아가던 중이었다. 배에는 한국인 선원 11명과 미얀마 선원 5명 등 모두 16명이 타고 있었다.
해양경찰은 사고 직후 경비정과 해군 함정 등 선박 32척과 헬기 등을 동원해 실종자 수색에 나서 선장 안씨 등 선원 5명을 구했으나 실종자가 많아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안씨 등 생존자들은 이날 해경 조사에서 “사고 당시 선장 등 필수요원을 뺀 나머지 선원 11명이 유류 저장탱크로 가서 탱크에 남아 있는 기름 찌꺼기 제거작업을 했다”며 “작업을 시작하고 20~30분 지났을 때 갑자기 ‘꽝’ 하는 소리와 함께 선체가 둘로 갈라졌다”고 말했다.
안 선장 등은 특히 “선체가 두동강 나듯이 갈라져 탱크 쪽 선수 부분으로 이동할 수 없었고 조타실도 폭발 충격으로 유리창이 모두 깨졌다”며 “외부 충격이 엄청나게 강해 처음에는 연평도 포격사건이 재발한 줄 알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두라해운㈜ 쪽은 이날 “두라3호는 평소 경유를 운반하는데 이번에는 휘발유를 운반했다”며 “유류탱크 안에 남아 있는 가스(유증기)를 빼는 ‘가스 프리’ 과정에서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경 관계자는 “천안함 사건 때처럼 배가 두동강이 났다”며 “생존 선원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볼 때 내부 요인에 의한 폭발 가능성이 큰 만큼 관련 증거품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정확한 경위와 원인을 파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고 선박에는 벙커시유 80t과 경유 40t이 실려 있었지만 선미에 있는 유류탱크가 훼손되지 않아 기름 유출은 없었다. 해경은 유류바지선을 동원해 기름을 옮기고 선수(뱃머리)와 선미(배꼬리)에 위치를 알리는 부이를 다는 등 선박 침몰에 대비했다. 사망자들의 주검은 이날 인천 남구 숭의동 성인천한방병원 장례식장에 안치됐다. 인천/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