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관계자들이 지난 16~17일 방북해 북한 강원도 임업 관계자들에게 솔잎혹파리 구제용 장비를 전달하고 사용법을 가르치고 있다. 강원도청 제공
솔잎혹파리 공동방제…5년간 94%까지 성과
남·북한의 강원도가 2001년부터 공동으로 벌이고 있는 금강산 소나무 솔잎혹파리 방제 작업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는 20일 “그동안 남북이 함께 노력한 결과 지역에 따라 87~94%의 소나무를 고사 위기에서 살려냈다”고 밝혔다.
금강산의 전체 산림(5만3천여㏊) 가운데 1만여㏊에 이르는 소나무숲이 2000년 솔잎혹파리에 감염돼 자칫 울울창창한 금강송 군락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강원도는 2001년 6월 산림방제 전문가들을 금강산으로 보내 장비 제공과 함께 사용법을 북쪽 관계자들에게 교육한 뒤 금강산 삼일포 일대 1천㏊의 솔밭에서 첫번째로 솔잎혹파리 방제작업을 했다.
이 작업 이후 4개월 뒤에 벌인 조사에서 92%의 방제효과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고, 이듬해 금강산 구룡연 일대 2천㏊에서 벌인 방제작업도 94%의 효과를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금강산 솔숲 7천여㏊에서 벌인 방제작업이 큰 성과를 거두자 2003년부터는 솔잎혹파리와 함께 잣나무넓적잎벌 방제사업에도 착수하는 등 산림 분야에서 남북 강원도 간의 실질적인 교류협력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올해도 지난 16~17일 강원도 산림관계 전문가 등이 다시 방북해 금강산 구룡연 지역에서 산림 병해충 방제기술 전수를 위한 시범 방제를 하고 2500여㏊ 산림에서 솔잎혹파리와 잣나무넓적잎벌 방제작업을 추가로 벌였다.
김은기 강원도 산림정책관은 “민족의 유산인 금강산의 산림 보호를 위해 방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10월 중으로 관계 공무원들이 다시 방북해 효과를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