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자들은 혐의 완강히 부인
설연휴로 소환조사도 어려워
설연휴로 소환조사도 어려워
‘돈봉투 의혹’의 당사자로 지목된 박희태(74) 국회의장이 외국순방을 마치고 18일 귀국했지만, 검찰이 박 의장의 혐의를 확인하기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박 의장은 고승덕 의원의 폭로로 돈봉투 의혹이 불거진 직후인 지난 8일 출국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 이상호)는 박 의장이 출국한 그날 고 의원을 소환 조사했고, 11일에는 300만원 돈봉투의 전달자로 지목된 고아무개(41·현재 한나라당 ㅇ의원 보좌관)씨의 집을 압수수색하고 그를 소환 조사했다. 13일에는 서울시 구의원들에게 ‘2천만원 살포’를 지시한 혐의로 안병용(54) 서울 은평갑 당협위원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16일에는 구속수감했다. 검찰이 신속한 수사를 통해 박 의장 귀국 전에 사건의 큰 그림을 그려놓을 거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안 위원장 구속 이후 수사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이번 사건의 본류인 300만원 건에 대해 고씨가 “돈을 전달한 적이 없다”고 완강하게 부인하면서 수사가 벽에 부닥친 것이다. 구속된 안 위원장도 여전히 자신의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의미 있는 진술이나 물증이 확보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의 칼끝은 박희태 캠프의 재정 담당자였던 조정만(51) 국회의장 정책수석비서관 등 ‘윗선’으로 뻗어나가지를 못하고 있다. “나는 모르는 일”이라며 선을 그어버린 박 의장에게 진실 고백을 기대하는 것도 어렵게 됐다. 참고인 등 관련자 소환이 어려운 설 연휴가 다가온 것도 수사팀에는 악재다.
박 의장 주변 조사를 통해 압박카드를 찾고 있는 검찰은 설 연휴가 지난 뒤 조 수석 등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소환 대상에 박 의장이 포함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검찰 관계자는 “진술을 끌어내려면 여러 가지 작업이 전제돼야 한다”며 “(본인들이) 부인하더라도 충분히 추궁할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