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등 4개 단체가 연 ‘서울대 입시안과 교육부의 교육정책에 대한 교수연대 기자회견’에서 김세균 서울대 교수(왼쪽 두번째)가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40여개 시민단체 “정총장 자진사퇴” 요구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 전국교수노조 등 4개 교수단체는 20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서울대는 논술고사 형태의 본고사 실시 계획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민교협 등은 통합교과형 논술고사는 본고사가 아니라는 서울대의 주장에 대해 “대학 자체가 실시하는 시험이 내신이나 수능에 못지않은 영향을 미치거나 더 중요한 변수가 되면 명백히 본고사로 규정해야 한다”며 “서울대의 2008학년도 입시안은 내신과 수능의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명분을 내세워 통합교과형 논술고사 형태로 본고사를 부활시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서울대가 국민의 사랑을 받는 대학이 되려면 사교육에 의해 학생 선발이 좌지우지되는 입시제도를 과감하게 폐기하고, 우수한 잠재능력을 지녔지만 교육여건이 열악한 학생들도 대거 서울대에서 공부할 기회를 제공하는 획기적인 입시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정운찬 서울대 총장이 교육 공공성 확보에 결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고교평준화 정책을 문제삼는 발언도 서슴지 않는 등 엘리트주의적 교육관을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40여개 교육·시민단체로 이뤄진 ‘본고사 부활저지·살인적 입시경쟁 철폐 교육시민단체 공대위’도 이날 오전 서울대 대학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통합교과형 논술고사 등의 입시안을 고수하는 정운찬 총장은 자진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공대위는 “학벌사회의 정점을 차지한 서울대가 최고의 맞춤 사교육 공장을 통해 생산될 수 있는 인력을 ‘좋은 원자재’라고 판단하는 한 한국의 교육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없다”며 “서울대는 논술 본고사 강화, 내신 비중 약화, 특목고 우대를 내용으로 하는 2008학년도 입시안을 철회하고, 국가 교육정책의 근간을 흔드는 정 총장은 자진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